임대료에 우는 면세점…공항 휴업에도 월 60억 지불
스크롤 이동 상태바
임대료에 우는 면세점…공항 휴업에도 월 60억 지불
  • 안지예 기자
  • 승인 2020.05.07 13: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안지예 기자]

문 닫은 김포공항점 면세점 모습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국가 간 왕래가 막힌 가운데 면세업계가 공항 임대료 문제까지 겹치며 이중고를 겪고 있다. 해외여행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에서 공항에 입점한 면세점들은 매출 없이 매달 임대료가 빠져나가며 영업적자만 불어나고 있다.

□ 건물주 마음대로 문 닫은 상가, 세입자 월세는 그대로 내라

7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김포를 비롯해 김해, 제주 등 지방 국제공항은 지난 3월 이후 국가 간 왕래가 막혀 ‘개항 휴업’ 상태다. 일주일에 1~2편 수준으로 운영되던 항공편조차 순차적으로 끊겼다. 특히 지난달 6일부터 국토부 지침에 따라 국제선을 인천국제공항으로 일원화해 운행하면서 지방 국제공항은 사실상 ‘셧-다운(Shut-down)’된 상태다. 이에 따라 공항 내 입점해 있는 면세점을 포함한 모든 상업시설 또한 ‘울며 겨자 먹기’로 무기한 휴업에 들어갔다.

하지만 정부 방침에 따라 공항 운영이 중단된 상황에서도 한국공항공사는 입주한 상업시설 업체들에게 임대료를 그대로 지불하라는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기재부 지침에 따른 ‘대기업 면세점 임대료 20% 감면’ 조치에만 응할 뿐 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추가적인 인하 요구에는 묵묵부답인 것으로 알려졌다.

□ 같은 공간, 같은 상황에서도 임대료 ‘천차만별’

대기업 면세점 사이에서도 계약 및 입찰 시기에 따라 공사에 납부하는 금액이 수십 배 이상 차이가 나 형평성 논란이 야기되고 있다. 지난 2018년 이전에 영업을 시작 면세점 사업자는 여객 수나 항공편, 매출 증감 등 영업환경 변동과 상관없이 매월 고정적인 임대료를 지불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포와 김해국제공항에서 면세점을 운영하고 있는 A 면세점은 공항이 문을 닫았음에도 불구하고 매월 60억 원이 넘는 고정 임대료를 지불하고 있다. 임대료는 공항면세점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매출이 없는 현 상황에서는 고스란히 영업적자로 반영되고 있다.

반면 지난 2018년 이후로 공항면세점에 입주한 사업자에겐 월 단위로 매출 증감 추이를 반영한 ‘매출 연동 임대료’ 방식이 적용된다. 김포와 제주국제공항에서 면세점을 운영 중인 B 면세점의 경우 현재 매출이 ‘제로(0)’인 상황에 비례해 임대료가 책정돼 매달 몇천만원선의 시설관리 임대료만 내고 있어 부담이 덜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 선진 해외공항의 코로나19 지원책은

해외 공항들은 입점 상업시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임대료 인하, 산정방식 변경 등 다양한 조치를 선제적으로 시행하고 있어 국내 상황과 더욱 대비된다. 

싱가포르 창이공항은 이미 지난 2월부터 오는 7월까지 6개월간 고정 임대료를 50% 감면해 주고 있다. 여객 수가 대폭 감소한 터미널 2, 3의 일부 매장은 지난달 30일까지 임대료를 완전히 면제했다. 호주의 브리즈번 공항은 3월 중순부터 기존 최소보장액 방식에서 매출 연동제로 변경했다. 뉴질랜드 웰링턴 공항의 경우에도 4월 최소보장액 전액을 감면해주는 등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공항공사는 지난 2018년 3월 공정위가 한국공항공사 사업시설 임대차계약서 내 ‘영업환경 변화 등에 따른 임대료 조정·손해배상 불가조항’에 대해 무효라고 판단함에 따라 면세사업자가 임대료를 조정 또는 계약 해지를 청구할 수 있게끔 약관을 자진 시정한 바 있다. 그러나 약관 시정 이후에도 급변한 영업환경으로 인한 조정 요구를 외면하는 등 불공정 약관을 유지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담당업무 : 유통전반, 백화점, 식음료, 주류, 소셜커머스 등을 담당합니다.
좌우명 : 편견없이 바라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