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s 왓] 포스코, 기업시민 내재화 가속…안전사고·온실가스 증가는 부담
스크롤 이동 상태바
[ESG’s 왓] 포스코, 기업시민 내재화 가속…안전사고·온실가스 증가는 부담
  • 장대한 기자
  • 승인 2021.04.09 14: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업 ESG 경영 SWOT 분석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장대한 기자]

국내 기업들이 너 나 할 것 없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Environmental·Social·Governance)경영을 외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는 기업의 경제적 성과뿐만 아니라 ESG 성과와 리스크를 투자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 문제로 출발했던 ESG 의제는 코로나19 사태까지 맞물리며 더 급격하게 확산되는 분위기다. ESG를 평가해 기업의 경영활동을 규제하는 입법 움직임도 세계 여러 국가에서 감지된다. <시사오늘>은 'SWOT 기법'(S-strength 강점, W-weakness 약점, O-opportunity 기회, T-threat 위협)을 통해 국내 주요 업체들의 ESG경영을 분석, 그들에게 어떤 강점과 약점, 그리고 어떤 기회와 위협이 있는지 짚어본다.

포스코
한국기업지배구조원- ESG등급 A…환경 A 사회 B 지배구조 A+
ESG행복경제연구소- ESG등급 A+…환경 A 사회 S 지배구조 A+

포스코가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꾸준한 연구개발 투자와 사회공헌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포스코 CI
포스코는 지난 2018년 최정우 회장 취임과 함께 ‘기업시민’ 경영 이념을 선포하고, 그룹 차원에서 선제적인 ESG 경영을 실천해 나가고 있다. ⓒ 포스코 CI

S- '기업시민' 활동 지속…최정우 2기 체제 '든든한 버팀목'

포스코는 지난 2018년 최정우 회장 취임과 함께 ‘기업시민’ 경영 이념을 선포하고, 그룹 차원에서 선제적인 ESG 경영을 실천해 나가고 있다. 일례로 아이디어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중소기업의 성장 발판을 마련해주는 것은 성공적인 창업을 지원하는 ‘창업 인큐베이팅 스쿨’을 운영해 상생협력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포스코 1%나눔재단을 통해서는 '스틸 빌리지' 기부 활동 등을 펼치고 있다. 사회적 문제 해결과 상생 경영을 기업 문화로 내재화시키고 있음은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이같은 다양한 사회적 가치 창출 노력에 힘입어 포스코는 ESG행복경제연구소로부터 사회공헌 분야 최우수 등급인 S를 부여받기도 했다.

올해는 최정우 회장의 연임 성공으로 체제 안정과 사업 연속성을 확보한 만큼, 기업시민 활동도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이포스코는 이사회 산하 전문위원회에 ‘ESG위원회’를 신설하고, ESG  전략 자문을 한층 강화한 CEO 자문기구 '기업시민 자문회의'를 구성하는 등 ESG 경영의 본격 실천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마쳤다.

W- 반복되는 안전사고 리스크…전사적 역량 집중으로 차단 나서

반복되는 안전사고, 산재는 여전히 포스코의 발목을 잡고 있다. 지난해 11월 광양제철소 산소 배관설비 폭발사고로 3명의 사망자를 낸 데 이어 지난 2월에는 포항제철소 원료부두에서 발생한 협착사고로 협력사 직원 1명이 목숨을 잃으면서 대국민 사과를 발표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특히 포스코는 기업시민 이념을 강조한 최정우 회장 취임 이후에도 3년이 채 안되는 기간 동안 9명(포스코 산정 기준)의 근로자가 목숨을 잃어 '산재 왕국' 꼬리표를 끊지 못했다. 지난 2월에는 최 회장이 국회 산재 청문회에 증인으로 불려나가는 등 곤욕을 치르기까지 했다.

포스코는 최 회장 2기 체제 가동에 발맞춰 안전관리를 대폭 강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김학동 철강부문장 사장 직속의 안전환경본부를 신설하고 이시우 생산기술본부장을 안전환경본부장으로 임명하는 등의 속도감있는 조치는 현장경영에 더욱 공을 들이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여기에 3년간 1조 원의 안전투자비를 집행하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6대 안전긴급조치를 시행하는 등 전사적 역량을 안전사고 예방에 집중시키고 있다.

O- 친환경 신사업 선두주자…수소, 이차전지 소재 사업 박차

포스코는 안전경영 강화와 더불어 친환경 신사업 육성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친환경 트렌드 속 철강 본원 뿐 아니라 수소, 이차전지(배터리) 소재 사업을 주축으로 꾸려 100년 기업의 토대를 닦는다는 방침이다.

이중 이차전지 소재 사업은 포스코케미칼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양극재 40만 톤, 음극재 26만 톤의 생산 체제를 구축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 2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기차 시장(PHEV 포함)이 2020년 303만 대 수준에서 2025년 933만 대 규모로 3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소재 밸류체인 구축 강점을 내세워 이차전지 소재사업의 글로벌 톱티어 진입을 노린다는 계획이다.

수소 사업에서는 탈탄소시대 선도와 해당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암모니아 수소 추출 기술개발 협력, 그린수소 생산 프로젝트 참여 등의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청정에너지인 수소는 그린뉴딜 정책과 수소경제 활성화에 힘입어 연간 국내 수요가 2030년 194만 톤, 2040년 526만 톤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포스코도 2050년까지 수소 생산 500만 톤 체제와 수소환원제철소를 구현, 수소사업 30조 원 매출액 달성과 탄소중립을 실천한다는 장기 비전을 내세우고 있다.

T- 근로자 지위확인소송·온실가스 증가 등 과제 산적

포스코의 친환경 신사업이 본격화되기까지 환경 오염 이슈를 최소화해 나가야 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포스코는 지난해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선언에 동참했지만, 2020년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난 2017년 7130만tCO2e에서 2019년 8050만tCO2e로 급증한 것으로 확인된다.

포스코는 2019년 9월 포스코에너지의 부생가스 복합발전소를 인수해 당해 배출량이 크게 증가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오는 2024년에는 포스코 계열사의 삼척석탄화력발전소가 가동될 예정인만큼 온실가스 배출량이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점쳐진다.

하청근로자들의 지위 확인소송도 적지 않은 부담을 안기고 있다. 계류중인 관련 소송건은 300건으로, 소송가액만 1조3304억 원에 달한다. 포스코의 불법파견이 산재 사고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는 점에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문제는 기업시민 포스코가 선결해야 할 과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담당업무 : 자동차, 항공, 철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좌우명 : 생각하는 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대로 생각하게 된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