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오늘] 임실군, 도인천 생태하천 신규사업 최종 확정…새만금 신규 매립지, 부안군 행정구역 최종 결정
스크롤 이동 상태바
[전북오늘] 임실군, 도인천 생태하천 신규사업 최종 확정…새만금 신규 매립지, 부안군 행정구역 최종 결정
  • 곽수연 기자
  • 승인 2021.11.25 13: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곽수연 기자]

임실군 도인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전라북도 유일의 균형발전특별회계(균특) 이양 사업으로 최종 확정됐다.ⓒ임실군
임실군 도인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전라북도 유일의 균형발전특별회계(균특) 이양 사업으로 최종 확정됐다.ⓒ임실군

임실군 도인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전라북도 유일의 균형발전특별회계(균특) 이양 사업으로 최종 확정됐다. 군은 성수면 도인리를 따라 흐르는 지방하천인 도인천 생태하천복원사업이 전라북도 균특이양 신규사업으로 확정, 총사업비 75억 원을 확보했다고 25일 밝혔다.

이에 따라 군은 2026년까지 7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도인천 3.4km 구간을 생태여울과 생태수로, 생태호안, 서식공간 등을 조성하게 된다. 이 사업을 통해 도인천은 다양한 생태계 생물의 종적 연결성을 회복하고, 수생태계를 복원해 생물의 다양성이 풍부한 하천을 조성할 수 있게 됐다. 

군은 이번 사업비 확보를 위해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질개선과 수생태계 복원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사전 준비를 철저히 진행해 왔다.앞으로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기본 및 실시설계를 내실 있게 준비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자연 친화적인 하천을 조성할 방침이다. 사업이 마무리되면 인근 주민들은 물론 임실군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생태체험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생태하천 복원사업은 오염된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고, 하천 정비로 훼손된 생물서식처를 복원해 수생태계 건강성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군은 그동안 생태하천 복원사업에 남다른 노력을 이어왔다. 그 결과 지난 2018년에는 옥정호 생태하천이 환경부 우수사례로 선정된 데 이어 2019년에는 평지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호남권에서 유일하게 환경부 신규사업으로 확정되면서 총사업비 50억 원을 확보했다.

평지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은 덕치면 가곡리 섬진강 합류지점부터 상류 2.0km 구간에 생태여울, 생태수로, 생태호안, 완충수림대 등을 설치 중이며, 2022년 준공을 앞두고 있다.

심 민 군수는“옥정호와 평지천에 이어 도인천 사업까지 마무리되면 깨끗한 물이 흐르고 사람과 함께 어우러지는 친근한 하천으로 많은 탐방객들의 큰 사랑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차질없는 사업 추진을 통해 아름답고 깨끗한 하천을 하루빨리 주민들의 품에 안겨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안군은 행정안전부 중앙분쟁조정위원회가 최종 심의를 열고 부안군 하서면 인근 새만금 개발사업 신규 공유수면 매립지인 초입지와 환경생태용지(1단계) 부지의 행정구역을 부안군으로 획정했다고 25일 밝혔다. ⓒ부안군
부안군은 행정안전부 중앙분쟁조정위원회가 최종 심의를 열고 부안군 하서면 인근 새만금 개발사업 신규 공유수면 매립지인 초입지와 환경생태용지(1단계) 부지의 행정구역을 부안군으로 획정했다고 25일 밝혔다. ⓒ부안군

새만금 신규 매립지 초입지·환경생태용지, 부안군 행정구역 최종 결정

부안군은 행정안전부 중앙분쟁조정위원회가 최종 심의를 열고 부안군 하서면 인근 새만금 개발사업 신규 공유수면 매립지인 초입지와 환경생태용지(1단계) 부지의 행정구역을 부안군으로 획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초입지는 전북개발공사가 추진한 매립사업으로 새만금 관문인 1호 방조제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북지방환경청이 조성한 환경생태용지(1단계)는 하서면 불등마을 앞 공유수면에 있는 신규 매립지이다.

군은 지난해 12월 전북개발공사의 신청을 바탕으로 행정안전부에 행정구역 결정을 신청했다. 새로운 매립지가 부안군으로 지정돼야 투자자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고 안정적인 민자유치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천년 부안군민의 터전이던 바다와 갯벌 위에 조성된 새로운 매립지가 부안군에 귀속결정 되기까지 만만치 않은 험로의 연속이었다. 지적측량성과도 발급 보류와 새만금 신규 매립지에 대한 인근 지자체와의 갈등으로 행정안전부 중앙분쟁위원회 심의까지 쉽지 않았다.

행정구역 결정 지연은 자연스레 미진한 투자유치와 관광객들의 유․무형적 피해를 야기시켰다. 2차 잔여지 매립준공으로 약 100만㎡(30만평)의 너른 땅으로 거듭난 초입지는 서해안 대표 관광 및 레저용지로의 도약을 위해 건전하고 공격적인 투자유치가 필수지만 행정구역 결정이 늦어지며 투자유치 또한 속도를 내지 못했다. 특히 지난 3월 조성된 환경생태용지(1단계) 부지 약 78만 5400㎡(23만 8000평)는 행정구역 결정 지연에 직격탄을 맞을 위기에 놓였다. 

당장 내년 초부터 관람객을 맞아야 하는 만큼 부지 관리와 방문객 편의를 위해 행정구역 결정이 시급했다. 현재 이곳은 국립공원관리공단 새만금환경생태단지에서 관리․운영 중이다. 다행히 올해를 불과 한 달여 앞두고 부안군 행정구역으로 결정된 것은 정부 또한 새만금과 부안의 미래 가치 실현을 내다본 것으로 전망된다. 

더는 행정구역 결정을 지체하면 막대한 피해를 불러올 수밖에 없기 때문으로 지난 1월 대법원의 새만금 1·2호 방조제 관할 결정 이후 3개 시․군의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렀음에도 행정안전부 중앙분쟁조정위원회가 큰 부담에도 해를 넘기지 않고 부안군으로 행정구역을 획정했다.

군은 적기에 새만금을 기회의 땅으로 조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특히 수십년간 새만금 개발로 인해 막대한 재산 피해와 그에 따른 고통을 이겨낸 주민들의 기대를 부응하기 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녔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김제․부안 지역구인 이원택 국회의원을 직접 방문해 지원 요청했고 새만금권역 실무행정협의회를 통해 군산시, 김제시를 수차례 설득했다. 또 행정안전부 등 관계기관을 찾아 귀속 결정 타당성과 사업시행자의 사업추진 지연에 따른 문제점, 그간 부안군민이 겪은 아픔 등을 설명했다. 

새만금 신규 매립지인 초입지와 환경생태용지(1단계)의 부안군 귀속은 부안군민 모두가 일궈낸 값진 성과이다. ‘부안’이라는 이름으로 명명된 신규 매립지는 새만금 개발이라는 국책사업 명분으로 바다를 내어 준 주민들에게 희망의 불씨가 되고 10년간 답보상태였던 민자유치에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된다.

권익현 군수는 “새만금 신규 매립지에 대한 부안군 최초 귀속 결정을 환영한다”며 “전북개발공사와 전북지방환경청의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토지등기화 등 행정절차에 대한 적극적 협조와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고 말했다. 
 

담당업무 : 경제부 기자입니다.
좌우명 : 정직하자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