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인상 여부 26일 결론… 인상 폭 변수
스크롤 이동 상태바
한은, 기준금리 인상 여부 26일 결론… 인상 폭 변수
  • 고수현 기자
  • 승인 2022.05.25 15: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창용 총재, 취임 후 ‘통화정책 결정회의’ 첫 데뷔 무대
시장, 금리인상 기정사실화… 향후 추가인상 여부 관심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고수현 기자]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조찬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조찬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은 26일 통화정책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금융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앞서 미(美)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가 정책금리(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하면서 한국도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그동안 한국은행은 한미 금리차 역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 기준금리를 추종하면서 관리해왔다.

시장에서는 한은의 미 빅스텝 추종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지만, 변수도 존재한다. 바로 지난 4월 취임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다.

이번 5월 회의는 이창용 총재 취임 후 처음으로 열리는 통화정책 결정회의이기도 하다. 이창용 총재의 첫 데뷔 무대인 셈이다.

앞서 이 총재는 지난 16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조찬회동을 갖은 뒤 진행된 백브리핑 자리에서 “빅스텝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내놓았다.

이 총재의 발언이 알려진 뒤 시장에서는 빅스텝 가능성을 시사한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졌지만, 이후 원론적인 발언이었다는 해명이 이어졌다.

다만 원론적이라도 빅스텝 발언이 나온 만큼, 5월 회의에서 금리인상 결정은 기정사실로 봐야한다는 게 시장의 분석이다.

KB증권 임재균 연구원은 지난 23일 보고서를 통해 “KB증권은 5월 월간 전망을 통해서 5월 금통위에서 추가 금리인상을 전망한 가운데, 높은 물가 우려와 한은 총재의 빅 스텝(0.50%포인트 인상) 가능성 발언으로 시장에서는 5월 금리인상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26일 열리는 통화정책 결정회의에서 당장 빅스텝이 단행될 가능성은 낮아졌지만, 향후 가파른 속도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있다.

이 연구원은 “시장의 관심은 5월 금리인상 유무보다는 추가 금리인상 횟수와 시기”라면서 “KB증권은 추가 금리인상 시기는 8월과 11월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최근 물가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5월에 이어 7월 금통위에서의 연속 금리인상 가능성도 배제해서는 안 된다고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 김유미 연구원도 보고서를 통해 "한국은행은 높은 물가 수준과 금융 불균형 완화 측면에서 금리 인상 기조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올해 5월 회의를 포함해 세 차례 추가 금리 인상을 예상하며 연말 기준금리는 2.25%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통화정책 결정회의 일정은 5월26일 이후에도 7월13일, 8월25일, 10월12일, 11월24일 등 총 4차례 남아있다. 시장경제 전문가들은 5월 회의 이후에도 최소 2차례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앞서 지난 4월 한은은 기준금리 0.25%포인트를 올린 바 있다. 이번 5월 회의에서도 기준금리 인상폭이 0.25%포인트로 결론이 날 경우 한국의 기준금리는 1.75%가 된다. 빅스텝을 단행할 경우 2.00%가 된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향후 미 연준의 빅스텝과 금리 인상 속도를 추종하느냐 여부를 주요 관전 포인트로 꼽고 있다.

이에 대해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한미 금리역전차로 인한 외국자본 유출 우려보다 미 연준 금리인상 폭과 속도를 추종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국내 경제 충격 우려가 더 크다고 보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정규철 경제전망실장은 최근 ‘미국의 금리인상과 한국의 정책대응’ 보고서를 통해 “미국 금리인상 충격에 대해 미국을 따라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우리 경제에 경기둔화가 그대로 파급되는 반면,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수행할 경우 일시적인 물가상승외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서 “한국의 통화정책은 자본유출·입과 환율변동을 용인하며 국내 물가와 경기 여건에 맞게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국경제연구원(KERI)도 최근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빅스텝과 같은 큰 인상 폭을 추종할 필요는 없다”면서 “경제주체들이 금리인상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너무 빠른 속도의 금리인상은 득보다 실이 클 수 있다”고 봤다.

그러면서 “가계와 기업의 소비 및 투자위축, 금융건전성 저하, 그리고 이에 따른 경기위축 가속화 등의 부작용을 한국경제가 감내할 수 있는 수준 내에서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담당업무 : 경제부 기자입니다. (은행·카드 담당)
좌우명 : 기자가 똑똑해지면 사회는 더욱 풍요로워진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