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디지털 자산 웹3 지갑 개발…카카오, ‘갤럭스’와 AI 신약 설계 플랫폼 MOU [IT오늘]
스크롤 이동 상태바
SK텔레콤, 디지털 자산 웹3 지갑 개발…카카오, ‘갤럭스’와 AI 신약 설계 플랫폼 MOU [IT오늘]
  • 한설희 기자
  • 승인 2022.07.11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KT, 안랩·아톰릭스랩과 가상자산·NFT·자격증명 담는 디지털 지갑 서비스
카카오브레인, ‘갤럭스’와 ‘AI 기반 항체 신약 설계 플랫폼’ 공동 연구 계약
LGU+, 기준국 57개소 구축…자율주행·스마트항만에 U+초정밀측위 적용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 한설희 기자]

SK텔레콤은 안랩의 블록체인 자회사 ‘안랩블록체인컴퍼니’(ABC), 블록체인 전문기업 ‘아톰릭스랩’과 ‘웹3 지갑(Web3·디지털 자산 지갑) 공동 개발 및 운영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SKT
SK텔레콤은 안랩의 블록체인 자회사 ‘안랩블록체인컴퍼니’(ABC), 블록체인 전문기업 ‘아톰릭스랩’과 ‘웹3 지갑(Web3·디지털 자산 지갑) 공동 개발 및 운영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SKT

SK텔레콤, 안랩블록체인컴퍼니·아톰릭스랩과 ‘웹3 지갑’ 공동 사업 MOU

SK텔레콤은 안랩의 블록체인 자회사 ‘안랩블록체인컴퍼니’(ABC), 블록체인 전문기업 ‘아톰릭스랩’과 ‘웹3 지갑(Web3·디지털 자산 지갑) 공동 개발 및 운영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웹3이란 온라인 서비스 세대 구분으로, 정보의 양방향 제공(읽기·쓰기)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데이터를 소유할 수 있는 시대를 의미한다. 웹페이지에서 단방향으로 정보를 제공받는 읽기 중심의 ‘웹1’, 중앙화 플랫폼으로 정보를 공급받고 동시에 사용자도 정보를 제공하는 읽기·쓰기 혼합의 ‘웹2’에서 발전된 형태다. 

3사가 공동 개발하는 웹3 지갑은 사용자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발행된 다양한 유형의 토큰을 저장·전송·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 지갑으로, △이더리움·클레이튼 등 가상자산 △디지털 콘텐츠 NFT △신분증·수료증 등의 자격증명에 쓰이는 SBT 등을 담을 수 있다. 사용자는 웹3 지갑을 통해 기존 보유 중인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다양한 웹3향 분산앱(dApp) 서비스의 접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번 공동 개발은 아톰릭스랩가 디지털 자산 지갑 원천 기술을 제공하고, SK텔레콤과 ABC가 서비스를 개발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서비스 개발을 완료한 후에는 SK텔레콤과 ABC가 운영을 담당하고, 아톰릭스랩이 양사에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SK텔레콤은 이번 웹3 지갑 서비스를 기존 PASS와 이니셜 플랫폼에 적용하고, 향후 출시될 디지털 자산 관련 서비스들과 연계해 생태계를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카카오브레인은 전략 투자했던 AI 기반 신약 개발사 ‘갤럭스’와 AI 기반의 항체 신약 설계 플랫폼을 구축하는 5년 공동 연구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카카오
카카오브레인은 전략 투자했던 AI 기반 신약 개발사 ‘갤럭스’와 AI 기반의 항체 신약 설계 플랫폼을 구축하는 5년 공동 연구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카카오

카카오브레인, 갤럭스와 난치병 정복 위한 공동 개발

카카오브레인은 AI 기반 신약 개발사 ‘갤럭스’와 AI 기반의 항체 신약 설계 플랫폼을 구축하는 5년 공동 연구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2020년 설립된 갤럭스는 인실리코 분자 기술을 자체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7월 6일 190억 원 규모의 투자금을 받았다. 카카오브레인은 지난해 12월 갤럭스에 50억 원을 투자한 바 있다. 

AI 기반의 항체 신약 설계 기술은 다양한 난치병 정복에 적용될 수 있다. 양사는 이번 공동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항체 치료제를 빠르게 발굴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AI 기반 항체 신약 설계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양사는 카카오의 초거대 AI 기술 개발 노하우와 갤럭스의 단백질 설계 기술 노하우를 결합해 5년 동안 △기반 기술인 항원-항체 결합 구조와 결합력 예측 △기반 기술을 적용한 항체 설계 △설계 기술의 실험적 검증 과정 등을 추진한다. 

한편, 카카오브레인은 지난해 구글 자회사 ‘캐글’ 소속 그랜드마스터이자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출신 이유한 박사를 신규 영입하면서 AI 신약 개발팀을 꾸렸다. 해당 개발팀엔 인실리코 물질개발·AI 개발 경력이 있는 연구원들이 대거 합류했으며, 이들은 초거대 AI 신약 개발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글로벌 AI 기반 신약 설계 분야를 선도하게 된다.

LG유플러스는 초정밀 측위 기술을 골프 서비스에 이어 자율주행·스마트항만까지 확대한다고 11일 밝혔다. ⓒLGU+
LG유플러스는 초정밀 측위 기술을 골프 서비스에 이어 자율주행·스마트항만까지 확대한다고 11일 밝혔다. ⓒLGU+

LG유플러스, U+초정밀측위 기술 자율주행·스마트항만으로 확대

LG유플러스는 초정밀 측위 기술 적용 범위를 골프 서비스에서 자율주행·스마트항만까지 확대한다고 11일 밝혔다. U+초정밀측위 서비스는 이동 중인 단말의 위치정보를 센티미터 단위로 확인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올해 3월부터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다. 기존 GPS의 GNSS(글로벌 위성항법 시스템) 방식 대비 오차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LG유플러스는 초정밀 측위 서비스를 신사업으로 정하고, 지난해 11월 국내 이동통신사 최초로 기준국을 자체 구축하면서 6월 말까지 총 57개소를 구축했다. 국토지리정보원의 기준국 75개소와 연동하면 국내 최대 수준인 총 132개소의 전국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셈이다. 

LG유플러스는 올해 4월 보이스캐디 제조기업 ‘㈜브이씨’와 손잡고 골프 기기에 초정밀 측위 기술을 접목했으며, 올해 3분기엔 자율주행·스마트항만으로 적용 범위를 넓힌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국내 최초 일반도로 5G 자율주행 실증을 수행한 ‘ACELAB’ △세종시 자율주행 규제자유특구 실증을 수행한 ‘오토노모스에이투지’ △자율주행용 정밀지도 제작 기업 ‘웨이즈원’ 등과 협업한다. 

이밖에도 LG유플러스는 △부산항만공사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사 △결제 플랫폼 전문기업 ‘코나아이’ △모빌리티 전문 AI기업 ‘다리소프트’ 등과 AI 기반의 도로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담당업무 : 통신 및 전기전자 담당합니다.
좌우명 : 사랑에 의해 고무되고 지식에 의해 인도되는 삶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