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관 특혜에 불량 레미콘까지…검단 주차장 붕괴사고, ‘의혹 눈덩이’
스크롤 이동 상태바
전관 특혜에 불량 레미콘까지…검단 주차장 붕괴사고, ‘의혹 눈덩이’
  • 박근홍 기자
  • 승인 2023.05.10 15: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 박근홍 기자]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 안단테( AA13-2 블록) 아파트 주차장 붕괴 사고와 관련된 의혹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해당 현장에 콘크리트를 납품한 레미콘 업체 13곳 중 3개 회사가 최근 국토교통부가 실시한 품질관리 실태점검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적발 시기가 2021년 5월 착공한 검단 안단테 공사 기간과 겹친 만큼, 불량 레미콘이 해당 현장에 쓰였을 가능성이 있다는 게 김 의원의 주장이다.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의 최근 3년간 레미콘사 품질관리 실태점검 자료를 살펴보면 이들 세 업체는 △공기량 기준치 초과 △염화물 기준치 초과 △플라이애시 분말도·고로슬래그 감열감량 시험 실시 필요 △믹싱타임이 성능시험 결과와 상이 △잔골재 표면수율 관리 미흡 △시료채취구 식별표시 보완 필요 등 문제로 2021~2022년 국토부의 지적을 받은 바 있다.

김 의원은 "사고 현장에 불량 콘크리트가 사용됐을 확률이 높다. 조사 과정에서 이 부분을 철저히 들여다봐야 한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검단 안단테 주차장 붕괴 사고 관련 의혹은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 9일 해당 현장 시공사업단(GS건설·동부건설·대보건설) 주관사인 GS건설은 "조사위원회 조사와 별도로 자체 조사를 병행하는 과정에서 초음파 촬영 중 설계와 다르게 시공된 것으로 추정되는 일부 부분을 발견했다. 시공사로서 책임을 인정하고 깊이 사과한다"며 공식 사과 입장을 밝혔다. 여기서 '설계와 다르게 시공된 것으로 추정되는 일부 부분'은 '철근 누락'으로 확인됐다. 주차장 지붕 슬래브 상하부 철근을 연결하는 전단보강근 30여 개가 미시공된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이 보도된 이후 각종 SNS와 인터넷 커뮤니티에선 현장 관계자들이 철근을 빼돌린 게 아니냐는 확인되지 않은 말들이 돌기 시작했다. 추정 근거는 전국 건설현장에서 자재 빼 먹기가 이뤄지고 있을 수 있다고 우려한 한 전문가의 방송 출연 당시 발언, 그리고 건설업계 관계자로 보이는 한 누리꾼이 "2020~2021년 건설된 아파트는 거르는 걸 추천한다. 자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하청업체들이 철근 콘크리트 10개 들어갈 거 6~7개만 넣거나 엄청 어껴서 지었다"며 직장인 익명 게시판에 올린 글이었다. 해당 의혹은 사실 여부와 관계 없이 온라인망을 타고 급속도로 확산됐다.

이와 관련, 10대 건설사에서 현장소장을 지내고 은퇴한 한 업계 관계자는 "옛날엔 자재 빼 먹는 현장이 진짜 많았다. 걸리면 '먹고 사느라 돈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고 그랬다. 아니, 배가 고프면 음식을 훔쳐야지 왜 철근을 빼돌려서 다른 사람들까지 위험에 빠뜨리냐고"라며 "요즘엔 대놓고 빼 먹는 건 많이 근절된 걸로 전해 들었다. 하지만 물가가 하도 급등하는 바람에 계산서, 거래 증빙 서류 만져서 싸구려 자재를 쓰거나 더 써야 될 걸 덜 쓰긴 할 거다. 먹고 사느라 그랬다? 그럼 그 건축물에서 먹고 사는 사람들은 어떻게 되느냐"고 꼬집었다.

붕괴 사고가 발생한 현장 시행사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를 둘러싼 의혹도 이에 앞서 제기된 바 있다. 지난 4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인천 검단신도시 붕괴 사고, 전관 특혜가 원인으로 의심돼'라는 제목의 성명을 내고 "설계용역과 감리(건설사업관리)용역 업체는 모두 LH 전관 영입 업체가 수주했다. 전관 특혜가 이번 붕괴사고 원인 중 하나로 의심된다"며 "LH는 U건축사사무소에 이번 현장을 포함한 12건(386억 원)의 설계용역을 수의계약으로 밀어줬고, M건축사사무소는 수주로비 방식으로 비판받은 종합심사낙찰제로 해당 현장 감리용역을 123억 원에 수주했다. 이 감리용역 건은 분석대상기간인 2020년부터 2021년 3월 사이에서 가장 큰 규모다. 두 업체의 공통점은 LH 전관 영입 업체라는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앞선 업계 관계자는 "시행사업자랑 한솥밥을 먹던 식구가 감리자가 된 격이다. 식구였던 사람이 감리비를 지급하는 건데, 상식적으로 뭘 기대할 수 있겠느냐. 이 현장만의 문제가 아니다. 감리자의 독립성이 철저하게 지켜져야 하는데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 준공이 될 때까지 시행사, 시공사, 감리사 관계자들이 현장에서 밥도 먹고, 술도 먹고 하는데 감리가 있으면 뭘 하겠는가"라며 "시공사와 하도급업체의 철근 누락 문제보다 감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점을 더 심각하게 봐야 한다. 어느 조직, 어느 현장이나 욕심 많고, 문제 있는 사람들은 항상, 당연히 있다. 이걸 관리하고, 예방하라고 있는 제도가 감리"라고 지적했다.

한편, 윤석열 정부는 이번 사고의 원인 규명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건설사고조사위원회(위원장 홍건호 호서대 교수) 가동에 들어갔다. 조사 완료 예정 시점은 오는 7월 1일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난 2일 해당 사고 현장을 직접 찾아 "위법 행위 발견될 경우 LH와 GS건설은 무거운 책임을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내세운 바 있다.

담당업무 : 건설·부동산을 중심으로 산업계 전반을 담당합니다
좌우명 : 隨緣無作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