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년] 야심찬 韓 진출 뒤 맥 못추는 日 브랜드
스크롤 이동 상태바
[광복 70년] 야심찬 韓 진출 뒤 맥 못추는 日 브랜드
  • 방글 기자· 김하은 기자·장대한 기자
  • 승인 2015.08.14 08: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동차는 독일, 유통은 토종 브랜드에 뒤떨어지는 초라한 실적···린나이보일러만 예외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방글 기자·김하은 기자·장대한 기자) 

▲ 애국심과 반일감정의 영향으로 한국에서 활동하는 산업과 유통분야 일본기업들이 맥을 못추고 있다. ⓒ뉴시스

35년의 설움. 광복 70주년.

1945년 8월 15일. 지금으로부터 70년 전 우리는 일제의 식민통치로부터 벗어나 자주 독립을 되찾았다. 1910년 8월 29일 나라를 빼앗긴지 35년만의 일이다.

나라를 빼앗겼던 시간을 두 곱절이나 지났지만 반일감정은 여전히 한국사회 곳곳에서 목격된다.

최근 롯데사태에서만 봐도, 일본기업이 한국에서 살아남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신동주 전 부회장과 신동빈 회장, 두 형제의 전쟁에서 신동빈 회장 측의 승리를 점치는 이유도 일본과의 감정 때문이다.

한국어를 잘 못하는 재벌은 받아들여도 일본어만 할 줄 아는 오너는 환영 받을 수 없는 것.

한 때는 ‘다케시마 후원기업 명단’이 인터넷 상에 떠돌기도 했다.

실제로 일본기업이 아니더라도 ‘다케시마 후원기업’ 등으로 낙인 찍히면 불매운동의 대상이 됐다.

그래서인지 한국에서 활동하는 일본기업들이 왠만해서는 기를 펴지 못하는 모양새다.

이미 국내에서 어느정도 입지를 차지한 일본기업 마저도 한국기업과의 격차는 적지 않게 벌어져 있다.

애국심 보다는 반일감정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국내서만 맥 못추는 일본차 '굴욕'

우선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일본차가 맥을 못추고 있다.

토종 브랜드인 현대·기아자동차가 버티고 있는데다 독일차의 약진으로 인기가 예전만 못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일본과의 독도문제, 위안부 문제, 신사참배 논란 등의 외교문제도 한 몫 했다.

실제로 지난해 수입차 시장 전체 판매량은 19만6359대를 기록했지만 이 중 일본차의 판매량만 △도요타(렉서스 포함) 1만3304대 △닛산 7188대 △혼다 3061대로 저조했다.

이는 전체 수입차 시장에서 12%에 해당하는 수치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도 수입차 점유율 순위는 독일차가 독식했다.

1위 BMW를 비롯해 2위 벤츠, 3위 폭스바겐 그뒤를 아우디가 이었다.

특히 유럽차(독일차 포함) 판매량은 1만6658대로 80.4%의 압도적 점유율을 보인 반면 일본차는 2524대 판매에 그치며 12.2%에 그쳤다.

그나마 렉서스 ES 모델이 2477대 팔리며 10위에 간신히 턱걸이 했다.

같은기간 국민차 쏘나타가 내수시장에서 5만 대 판매된 것과 비교하면 초라한 수치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차가 독일차에 밀려 고전을 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수입차 전체 비중이 커지고 있는 등 자만해서는 안된다"며 "토종 브랜드들이 애국심에만 호소할 것이 아니라 까다로워진 소비자들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편의점 왕좌, 토종 브랜드가 섭렵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한 물품을 구매 가능케 한 유통채널인 편의점. 한국에 첫 발을 내딛은 편의점 업체는 일본 기업 세븐일레븐홀딩스가 운영하는 ‘세븐일레븐’이다. 한국 세븐일레븐은 롯데그룹 계열사인 코리아세븐이 운영하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24시간 운영이라는 강점을 내세워 국내에 상륙하자마자 소비자들의 폭발적인 호응을 얻고 고공성장을 이어갔다. 세븐일레븐의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2조6847억 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353억 원, 246억 원을 올렸다. 현재 총 점포수도 전국 7300여 개에 달할 정도로 출점율 역시 양호한 상태다.

고공성장을 이어오던 세븐일레븐이 국내 편의점 업체에게 왕좌 자리를 내준 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삼성 계열의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CU’(구 훼미리마트)와 GS리테일의 'GS25‘에 1, 2위를 내주면서 업계 3위로 추락한 것. 점포수는 CU에, 매출액은 GS25에 크게 밀리면서 업계에서는 편의점 업계가 3강 체제에서 2강 체제로 바뀌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지난해 편의점 3사의 점포수를 살펴보면 CU는 7940개, 뒤이어 GS25가 7700개, 세븐일레븐이 7230개로 출점률 꼴지에 머물렀다.

매출 성적도 밝진 않다.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세븐일레븐의 올 1분기 매출은 7029억 원으로, GS25(9502억 원)와 CU(8605억 원)에 비해 현저히 뒤처지는 실적을 나타냈다. 게다가 세븐일레븐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85억 원 급감하고, 160억 원의 순손실을 내면서 적자전환 했다. 영업이익도 85억 원으로 CU(431억 원)의 20%에 못 미치는 성적을 나타냈다.

코리아세븐을 운영하는 롯데그룹이 수익성 완화를 위해 실적이 좋지 않은 점포들을 과감히 없앴고 수익성 개선에 나섰으나, 토종 브랜드인 CU와 GS25를 따라잡기엔 역부족이었던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롯데그룹 계열사들이 최근 상생 문제에 부딪쳐 불매운동의 타깃이 되고 있어 향후 세븐일레븐의 실적 전망도 밝다고 보긴 어렵다”며 “실제 롯데 사태 이후로 세븐일레븐의 매출이 급감하는 등 영세 사업자들만 곤혹스러운 상황에 처해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보일러계의 롯데, 린나이

린나이코리아의 경우는 특이한 케이스다.

린나이코리아는 지난해 매출액 3084억 원을 기록하며 귀뚜라미 보일러를 제치고 업계 2위 자리에 올랐다.

가스렌지 등의 주방가전 부문 매출도 포함됐기는 하지만 영업이익마저 138억 원으로 전년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업계 1위인 경동나비엔마저 추월한 수치다.

린나이코리아의 이같은 성공에는 일본 린나이가 지분 97.7%를 보유했다는 왜색(倭色)을 숨기며 국내 영업을 이어온 전략이 유효하게 작용했다.

업계는 소비자들이 린나이코리아를 롯데처럼 국내기업으로 잘못 인지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결국 보일러업계는 40년이 넘는 시간동안 일본 자본으로부터의 광복을 이루지 못한 꼴이 됐다.

린나이코리아 관계자는 "감사보고서에도 일본 린나이 지분을 명시했으며 일본계 기업임을 숨긴적은 없다"고 전했다. 

담당업무 : 식음료 및 유통 전반을 맡고 있습니다.
좌우명 : 생생하게 꿈꾸면 실현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