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쫓아 가기 바쁘다 바빠”…'스마트 건설' 첫 발 뗐다
스크롤 이동 상태바
“뒤쫓아 가기 바쁘다 바빠”…'스마트 건설' 첫 발 뗐다
  • 최준선 기자
  • 승인 2016.03.24 10: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진국은 이미 상용화 속 뒤늦게 국내 대형건설사 중심 ICT 융·복합 추진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최준선 기자)

▲ 일본의 건설중장비업체 코마츠(KOMATSU)가 지난해 공개한 '스마트 건설' 컨셉영상 캡쳐 이미지

건설과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이 융합된 ‘스마트 건설’이 주목받고 있다. 국내 건설업계는 지금까지 완공된 건축물의 ‘스마트화(化)’만 선보여 왔지만, 최근 대우건설과 GS건설 등 대형 건설사가 ICT 융·복합을 적극 추진하며 시공 현장의 스마트화, 즉 스마트 건설에 첫 발을 떼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건설업계, ‘스마트홈’‘스마트 시티’로 스마트化

국내 건설업계는 최근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사업을 확대하며 산업의 스마트화를 고객에게 선보이고 있다. 스마트 홈이란 가전제품을 비롯해 수도나 전기 등의 에너지 소비장치, 보안기기 등을 통신망으로 연결해 모니터링·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

대림산업은 지난달 스마트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가능한 ‘공기청정 환기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상청의 지역별 실시간 미세먼지 데이터와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분석해 자동으로 운전모드를 조정한다. 현대건설도 보다 효율적인 스마트홈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지난달 SK텔레콤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삼성물산 역시 지난해 10월 분양한 ‘래미안 서초 에스티지S’에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 스마트홈’ 기술을 적용했다.

스마트 시티 사업은 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모습이다. 스마트 시티는 센서·클라우드·빅데이터 등의 ICT를 활용해 도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경제를 활성화해 시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미래형 도시를 말한다.

부산시는 지난해 4월 국내 최초로 ‘스마트 시티 실증단지 조성사업’을 확보하고 △스마트 횡단보도 △스마트 파킹 △스마트 빌딩에너지 관리 △상황인지 대피안내시스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해왔다. 2019년까지 1035억 원을 가량을 투입할 예정이다. 부산시 외에도 제주, 인천, 대구, 성남, 나주 등 여러 지자체에서 스마트 시티 사업이 진행 중이다.

아직 시공 결과물에 국한…한발 늦어

이처럼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사업 등을 통해 건설 산업의 스마트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기술의 발전은 아직 시공의 결과물에 국한돼있던 것이 사실이다. 해외 선진국 건설업계에서 건설과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의 융·복합이 적극 추진되며 시공현장의 스마트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한발 늦은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 일본의 건설중장비업체 코마츠(KOMATSU)는 지난해 공개한 3분30초짜리 컨셉영상을 통해 스마트 건설을 시장에 선보인 바 있다. 영상에 따르면 코마츠가 선보인 스마트 건설의 개념은 사람-현장-장비를 ICT를 통해 연결하는 것이다.

영상에서는 한 기술자가 드론을 통해 지형을 분석하고 3D 데이터로 산출해 불도저 등의 장비로 전송한다. 전송된 데이터는 시공사의 설계도와 연동돼 어느 지점에서 공사가 진행돼야 하는지 계산하고 장비를 운용하는 기술자가 정확한 공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설계가 변경된 경우, 수정된 계획을 장비에 업데이트하기만 하면 재작업해야 할 구간이 어딘지 확인 가능하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대로 지형을 분석했을 때보다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류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영상을 본 한 건설사 관계자는 “영상에서 소개된 것과 같은 장비가 실제 공사 현장에 상용화되면 중소건설사들도 대형사 못지않은 기술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며 “ICT로 인한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건설업계도 마주하게 된 것 같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한 업계 전문가는 “건설업계가 직접 IT 사업에 뛰어들어 데이터를 축적하는 동시에 새로운 사업 모델을 구축해야 하는데, 아직은 외주를 통해 뒤쫓아 가기 바쁘다”며 “많은 건설사들이 겉으로는 ITC융·복합을 말하면서도 적극적인 투자는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건설도 ‘현장의 스마트化’ 첫발 떼

그러나 최근 국내 건설사들도 시공 현장의 스마트화, 즉 스마트 건설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모습을 보여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건설과 ICT의 융·복합을 추진하고 있는 대우건설은 지난 22일 SK텔레콤과 ‘ICT 융합 스마트건설’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ICT 융합 스마트건설은 IoT를 바탕으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현장의 안전·품질·공정 전반에 대해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기술개발을 위해 대우건설은 △건설현장 운영과 관련한 노하우와 정보 △시스템 디자인 △엔지니어링 기술 등을 제공하고, SK텔레콤은 △통신 인프라 개선 △사물인터넷 무선통신 기술 △스마트 기기와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기술이 현장에 적용되면 건설 작업자는 직접 스마트기기를 착용하고 건설현장의 다양한 구조물에 설치된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정보는 작업자뿐만 아니라 관리자와 현장사무소, 본사에도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사전에 위험인자를 식별해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가 발생했을 때에도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공정과 품질 관리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현장 어느 곳에 있더라도 자신이 위치한 곳의 도면과 필요 자재·장비 리스트 등을 모바일기기를 통해 열람할 수 있게 돼 현장 공정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나아가 대우건설은 향후 드론을 △설계·공사물량 산출 △공정확인 △현장안전감시 등에 활용하는 시스템까지 추가해 ‘대우 스마트건설(DSC, Daewoo Smart Construction)’ 기술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 GS건설 직원과 협력업체 보림토건 현장소장이 '플랜그리드' 프로그램을 이용해 도면을 검토하며 시공 현황을 체크하고 있다. ⓒ GS건설

GS건설도 건설현장의 스마트 워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첫 발을 뗐다. GS건설은 지난 23일 미국에서 개발한 도면 공유 프로그램 ‘플랜 그리드(Plan Grid)’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건설 현장에서 수시로 발생하는 도면 수정·변경 사항을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시공상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는 평이다. 도면 뿐 아니라 각종 공사 관련 문서 저장도 가능하며 사진 전송 기능이 있어 작업 지시도 용이하다.

GS건설은 건축수행본부 57개 현장에 플랜 그리드 의무 적용 지침을 내리고 현재 프로그램 설치·교육을 실시 중이다. 향후 건축수행본부 전 현장에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한국철도시설공단도 지난 23일 KT와 업무협약을 맺고 철도건설현장에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한 실시간 스마트 현장관리체계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사용자가 가상서버에 저장한 자료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현재 국내 건설업계는 선진국과 비교해 시공 현장의 스마트화 측면에서 아직 초보적인 단계를 밟고 있다”면서도 “최근 몇몇 대형사들을 중심으로 스마트 건설이 적극 추진되고 있는 만큼, 관련 산업에 대한 논의와 투자는 보다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담당업무 : 건설 및 부동산을 담당합니다.
좌우명 : 어제보다 나은 오늘을 살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