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끝나니 여야 모두 ‘파벌 다툼’
국민은 뒷전…자리 싸움에만 매달려
스크롤 이동 상태바
선거 끝나니 여야 모두 ‘파벌 다툼’
국민은 뒷전…자리 싸움에만 매달려
  • 최신형 기자
  • 승인 2010.07.30 15: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주 반(反)정세균 연대...한나라 계파해체 무산 갈등 재연
7.28 재보선에서 '개혁과 변화'를 외치던 그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재·보궐 선거가 끝나자 여야 모두 너나할 것 없이 모두 당권 경쟁을 둘러싼 싸움판이 재연되고 있다.

한나라당-민주당 모두 국민을 위한 비전 없이 정파적 헤게모니의 골몰돼 현실에 대한 인식 부재가 드러나고 있는 것.

선거에서 참패한 민주당은 그야말로 지도부 책임론 등이 불거지며 극심한 내홍으로 번지고 있고 승리한 한나라당은 겉으론 드러나지 않지만 이재오 당선자의 여의도 복귀로 언제든지 '두나라당'으로 갈릴 수 있는 암초가 곳곳에 산재돼 있다.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30일 오전 최고위원회 비공개 회의에서 비주류 쇄신연대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사퇴의사를 표명했다가 박지원 원내대표 등이 만류해 일단 사퇴의사를 접었다.

하지만 문학진·천정배·김영진 의원 등이 주축이 된 비주류쇄신연대는 여전히 정세균 대표 등 지도부 총사퇴와 임시지도부 구성을 요구하고 있어 당권파 vs 비당권의 대충돌 양상으로 보이고 있어 자칫 민주당도 '두나라당'이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재보선 승리 이후 당내 갈등을 최소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친이주류의 기득권이 득세하고 있다.

지난 7.14 전대에서 친이계 조직을 이기지 못하고 2위를 기록한 홍준표 최고위원은 당선 직후 당내 계파해체를 선언하고 나서며 비주류로서 할 말은 하겠다고 천명했다.
▲ 민주당 민주희망쇄신연대 의원들이 29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민주당 변화와 쇄신을 위해서 노력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 뉴시스

당내 안팎으로 친이-친박간 계파갈등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자 한나라당은 지난 26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비공개 회동을 갖고 계파를 해체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하루 만에 당내 의원들을 중심으로 '현실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히며 공개적으로 불만을 터트렸다.

친박계 주성영 의원은 27일 MBC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계파해체와 관련,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고 같은 날 중립파 권영세 의원도 CBS라디오 <이종훈의 뉴스쇼>에 출연해 당내 분열과 관련, "계파갈등이 심화된 것은 지난 18대 총선 공천 때문이라며 여권 전체를 이끌고 있는 주류 세력인 친이계 책임이 크다"며 당내 분열의 책임을 친이계로 돌렸다.

결국 한나라당은 39일 ‘계파모임 해체 권고’수준에서 이 논의를 일단락 해 계파해체는 용두사미에 그쳤다. 

또 7.28 재보선에서 당선돼 2년 3개월 만에 여의도 정치에 복귀한 이재오 당선자의 복귀는 그야말로 지뢰밭이다. 건들지 않으면 터지지 않지만 건드는 순간 정국은 블랙홀로 빠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2012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친박계를 견제하는 동시에 친이계 대권주자 물색에 들어갈 것으로 보여 친박은 물론 SD계(이상득 의원) 측에 견제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해방 이후 한국정치사는 왜 정치권의 정파·당파적 헤게모니와의 단절에 실패한 채 이 같은 구태정치가 확대재생산 되고 있을까.

시사평론가 박상병 박사는 이와 관련, “정치는 원래 적과 동지의 관계이기에 독일의 사민당이나, 영국의 노동당 내에도 정파싸움은 치열하다”면서 “문제는 단지 갈등구조가 아니라 갈등의 콘텐츠 질이 낮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 정당은 정책 등 생산적인 정파갈등이 아닌 사적인 충돌, 즉 인물 중심으로 모아졌다가 흩어졌다가를 반복한다”면서 “민주당은 정세균 대표와 정동영 의원이 전북과 대권을 놓고 싸우고 한나라당은 경남과 수도권, 그리고 친이-친박이 대립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정파적인 갈등 해소 대안과 관련, “한국정치의 코어(핵심)은 국회가 아닌 대통령이기에 대권을 잡아야만 주류가 된다. 그런 1인 지배체제의 만연화로 인해 정당에서도 당 대표가 모든 것을 좌지우지 하고 있다”며 “이 같은 권력구조적인 문제는 정당차원의 문제로 풀 수 없고 헌법을 통해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 정치권은 지난 87년 체제 이후에도 여전히 국민의 의사를 대의하기보다는 정치인 자신들의 정파적·패권적 헤게모니에 만 집착, 국민들에게 ‘따라오라’는 식의 계도정치만 일삼았다.

또 정파 내 퇴행성을 바꾸고 민생을 돌보기를 소홀히 해 ‘정치 무능론’, ‘정치 위기론’ 등을 심화시켰다.

MB정부에서 계속 흘러나오고 있는 개헌 등 권력구조의 개편이 우리 정치사를 바꿀 수 있을까. 개헌 등 제도변경에 국민들이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