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이어 아모레까지…화장품·식품업계에도 사드 보복 '공포'
스크롤 이동 상태바
롯데 이어 아모레까지…화장품·식품업계에도 사드 보복 '공포'
  • 안지예 기자
  • 승인 2017.03.09 14: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안지예 기자)

▲ 사드리스크가 현실화되면서 국내 화장품·식품업계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한 사후 면세점이 중국 관광객 감소로 잠정 폐점해 문을 닫은 모습 ⓒ뉴시스

한·미 당국이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를 계획보다 빠르게 진행하면서 중국의 ‘사드 보복’도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국내 화장품업계와 식품업계는 그동안 사드 갈등으로 인한 실질적인 타격은 없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지만 우려가 현실화되면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우선 화장품업계는 업계 1위 아모레퍼시픽 제품 3종이 중국 정부로부터 최초 불허 판정을 받으면서 위기감이 고조됐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질검총국)이 발표한 ‘2017년 1월 불합격 수입 화장품’ 목록에 아모레퍼시픽 라네즈 제품 3종이 포함됐다. 지난해 12월 불합격 화장품 명단에는 수입 허가를 받지 못한 제품 68개 중 19개가 한국산 화장품이었으며 해당 불합격 화장품들은 모두 반품됐다. 앞서 지난해 11월에는 한국산 화장품 제품 28개 중 19개가 수입이 불허됐다. 

중국 당국은 해당 제품 목록 수입 불허 이유로 제출 서류 미비, 포장 불합격, 미생물 수 초과 등을 들었다. 사드 배치 발표 후 국내 중소업체 화장품 수입이 중단된 적은 있지만 대기업 화장품 제품이 수입이 불허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최근 면세점 판매량이 확연히 줄어들면서 중국인 여행객 의존도가 높은 업체의 실적이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승은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한국행 여행객 제한 조치로 면세점 이용객이 감소하면 화장품업체의 실적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며 “국내 면세점 외국인 매출액의 85%가 중국인으로 추정되며 지난해 면세점 이용객의 51.1%가 화장품을 구매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 시닝 지역의 한 백화점 내 아모레퍼시픽 라네즈 메이크업 시연행사장에서는 중국인들이 항의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개된 해당 영상에서 몇몇 중국인들은 “한국기업 꺼져라”라며 수분 동안 목소리를 높였다. 

중소기업 피해는 더욱 막심해지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중국의 보호무역조치 경험에 대한 중소기업인 인식조사’에서 한미 사드배치 발표 이후 불이익을 경험했다는 비율은 26%였다. 이는 사드배치 이전 응답률인 5.3%에서 20.7% 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최근 만난 한 중소 화장품 제조사 관계자는 “K뷰티가 주목받던 1~2년 전 사업을 시작할 때와 최근 분위기가 상당히 많이 달라졌다”며 “1년 전쯤 중국에서 허가받은 품목이 있었는데 아직까지 재허가 승인이 나지 않아 마냥 기다리고만 있는 상태”라고 토로했다. 

중국 시장에 진출한 국내 식품업계도 긴장 상태다. 지난 8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중국 질검총국이 발표한 지난 1월 한국 식품 통관 거부 건수는 총 6건으로 확인됐다. 

롯데칠성의 음료 제품은 중국 당국의 통관불허 조치로 수출이 지연·중단됐다. 롯데제과의 경우 중국 유통계가 현지의 대형 마트들에 납품을 하고 있는 중간 거래상들에게 롯데제과 제품을 철수하라는 구두 지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에는 국내 중소기업이 수출하는 주스와 라면 등이 수입 불합격 명단에 포함되기도 했다. 

농식품부가 롯데칠성을 포함한 국내 주요 식품수출업체 12곳을 대상으로 실태 조사를 한 결과 실제 통관 거부가 된 롯데칠성 외에도 ‘통관·검역이 까다로워졌다’고 응답한 업체는 4곳이었다. 이들 업체는 최근 중국 당국의 서류나 라벨링 심사 등이 전반적으로 강화됐다고 답했다. 

이처럼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발(發) 비관세장벽이 두터워지고 있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마땅히 대응할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국가 간 외교 문제인 만큼 정부에서 1차적인 해결방안을 찾는 게 급선무라는 게 업계 지적이다. 화장품업계에서도 지난 1월 긴급회의를 열고 대책 논의에 나섰지만 아직 뚜렷한 해결책은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당장 큰 영향은 없지만 사태가 악화되고 있어 장기화된다면 부담이 커질 것”이라면서도 “개별 기업으로서는 예의주시하는 것 이외에 아직까지 특별한 대책은 없다”고 말했다. 

담당업무 : 유통전반, 백화점, 식음료, 주류, 소셜커머스 등을 담당합니다.
좌우명 : 편견없이 바라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