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암역 로열파크씨티 푸르지오’, 높은 기대만큼 엇갈리는 평가

"친환경 단지 아닌 발암 단지" vs. "앞으로 더 희소성 높아질 역세권" 관건은 분양가…"1600만 원대 이상이면 청약 대신 '줍줍'을 노려라"

2020-04-28     박근홍 기자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 박근홍 기자]

검암역

검암역세권에 매머드급 단지로 조성되는 '검암역 로열파크씨티 푸르지오'에 대한 시장의 평가가 엇갈리는 모양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DK도시개발·DK아시아는 오는 5월 인천 서구 백석동 일원에 총 4805가구 규모 검암역 로열파크시티 푸르지오를 공급할 계획이다. 시공은 대우건설이 맡을 전망이다.

해당 단지는 오션뷰와 리버뷰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리조트 도시로 꾸며지는 데다, 역세권 입지를 갖췄고,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59·74·84㎡ 중소형 타입이 90% 이상 배치돼 분양 전부터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많은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주택시장에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인천 내 비규제지역에 분양되는 아파트인 것도 기대감을 높이는 눈치다. 특히 추첨제 비율이 80%라는 점, 전매제한 기간이 6개월이라는 점 등은 투자자들의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처럼 실거주는 물론, 투자 목적까지 검암역 로열파크씨티 푸르지오에 대한 청약 대기 수요가 늘고 있지만, 지역 전문가들의 평가는 크게 엇갈리는 분위기다. 견해가 나뉘는 배경은 '입지'다.

현재 시행사인 DK도시개발·DK아시아는 친환경을 부각시키는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단지가 들어서는 한들구역 도시개발사업지에서 지난해 맹꽁이가 발견될 정도로 쾌적한 주거환경을 갖췄음을 강조하며 '친환경 에코시티'를 표방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홍보와는 달리 지역에서는 오히려 환경적인 측면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단지에서 불과 1~2km 떨어진 곳에 지난해 정부가 '주거부적합' 판정을 내린 사월마을이 위치해 있다는 이유에서다.

해당 마을은 소규모 유해물질 취급 사업장이 몰려있어 주민들의 암 발병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사월마을 주민의 소변 중 카드뮴·수은 농도, 혈액 중 납 농도는 전체 국민 평균보다 최대 1.7배 많다.

지역 부동산시장의 한 관계자는 "'친환경 단지'가 아니라 '발암 단지'가 되는 건 아닌지 걱정된다. 단지 인근으로 환경오염 유발시설이 많고, 쇳가루가 휘날리는 게 눈에 보이는 실정인데, 사업이 어떻게 허가가 났는지 아직도 궁금하다"고 의문을 표했다.

다만, 이런 우려와 관련해 DK도시개발·DK아시아는 사업 부지 일대 환경영향평가에서 발암성 물질 등에 대한 건강상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긍정적인 평가에 대한 근거 역시 입지다. 시행사는 친환경과 더불어 역세권 입지를 강조하며 수요자들의 시선을 이끌고 있다. DK도시개발·DK아시아 측은 "사업지에 인천지하철 2호선 독정역이 붙어 있는 데다, 검암역은 환승 없이 강남으로 연결될 인천공항철도와 서울지하철 9호선 직결화 사업이 추진 중인 만큼, 향후 트리플 역세권으로 거듭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한 검암역세권 일대 주택계획(안)에서 공동주택 총 6990세대 중 1782세대를 제외한 나머지 물량을 모두 국민임대, 영구임대, 행복주택, 신혼희망타운 등 공공임대·공공분양으로 정한 점도 검암역 로열파크씨티 푸르지오의 강점인 역세권 입지를 부각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 부동산중개업자는 "검암역 로열파크씨티 푸르지오 바로 밑이 검암역세권인데, 공공임대·공공분양 아파트 대부분이 검암역 주변에 집중돼 있는 반면, 민간분양 물량은 역세권이라고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역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계획돼 있다"며 "계획대로 추진되면 검암역 로열파크씨티 푸르지오의 몸값이 올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 업계에서는 청약 흥행을 좌우하는 건 결국 분양가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검암역 로열파크씨티 푸르지오는 입지적 장단점이 분명한 데다, 코로나19 경제위기 여파 가운데 공급되는 단지이기 때문에 분양가에 따라 수요자들의 결정이 달라질 것"이라며 "3.3㎡당 1600만 원 후반대나, 그 이상에 분양가가 책정된다면 워낙 단지 규모가 크기 때문에 미분양이 발생할 여지가 상당해 보인다. 이 경우 수요자들 입장에서는 청약통장을 아끼고 '줍줍'을 노리는 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