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오늘] KT, 양자암호통신 신사업 공모…아이폰, 긴급구조에도 위치정보 미제공 논란
스크롤 이동 상태바
[IT오늘] KT, 양자암호통신 신사업 공모…아이폰, 긴급구조에도 위치정보 미제공 논란
  • 한설희 기자
  • 승인 2021.10.15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T, 미래인재 육성으로 양자암호통신 사업 강화…학생 대상 공모전
네이버, 미리디 제휴 통해 웨일스페이스 내 디자인 서비스 기능 추가
아이폰·자급제 알뜰폰, 이용자 위치파악 불가…긴급구조 사각지대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 한설희 기자]

KT는 2021년 디지털 뉴딜 양자암호통신 시범인프라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양자암호통신기술과 서비스가 융합된 신사업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KT
KT는 2021년 디지털 뉴딜 양자암호통신 시범인프라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양자암호통신기술과 서비스가 융합된 신사업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KT

KT, 양자암호통신 신사업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KT는 2021년 디지털 뉴딜 양자암호통신 시범인프라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양자암호통신기술과 서비스가 융합된 신사업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양자암호통신 인프라 사업은 양자암호통신기술과 융합된 서비스를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사업이다. KT는 차세대 보안기술인 양자암호통신기술에 접목할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대학생·대학원생들에게 양자암호통신 전문가로 성장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해당 공모전은 전공자뿐만 아니라 인문·사회·예술 등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들도 참여 가능하다. 참여를 원하는 학생은 △UCC △영화 △모션그래픽 △공익광고 △애니메이션 △플래쉬 △다큐멘터리 등 영상을 통해 응모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다운받아 출품작과 함께 오는 11월 30일까지 제출하면 된다.

공모전 1위 수상자(팀)에겐 상금 300만 원, 2위 수상자에겐 200만 원이 수여된다. 심사는 2차에 걸쳐 진행되며, 최종 결과는 우수아이디어 발표회를 통해 공개된다. 

네이버는 미리디와의 제휴를 통해 자사 교육용 플랫폼 ‘웨일스페이스’에 디자인 서비스 ‘미리캔버스’를 제공한다고 15일 밝혔다. ⓒ네이버
네이버는 미리디와의 제휴를 통해 자사 교육용 플랫폼 ‘웨일스페이스’에 디자인 서비스 ‘미리캔버스’를 제공한다고 15일 밝혔다. ⓒ네이버

네이버, 교육용 플랫폼 ‘웨일스페이스’ 확대…미리캔버스와 제휴

네이버는 미리디와의 제휴를 통해 자사 교육용 플랫폼 ‘웨일스페이스’에 디자인 서비스 ‘미리캔버스’를 제공한다고 15일 밝혔다. 

미리캔버스는 웹 기반의 디자인 제작 툴로, 다양한 템플릿과 디자인 요소가 제공돼 누구나 쉽게 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학교 발표 수업에 사용될 경우, 학생들은 쉽게 시각자료를 만들 수 있다. 지난 9월 기준으로 전국 1300여 곳 학교에서 미리캔버스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네이버 웨일스페이스는 교육 서비스를 한 곳에 모아 제공하는 교육용 플랫폼이다. 별도의 설치 과정과 회원가입을 할 필요 없이, 웨일스페이스에 로그인 하는 것만으로 모든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이번에 미리캔버스 기능이 추가되면서, AI기반의 음성기록 서비스 ‘클로바노트’ 등 총 28개의 솔루션이 통합 제공된다. 

이중 학급 출석·진도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웨일클래스’와 화상수업 솔루션 ‘웨일온’은 교육현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네이버는 다양한 솔루션 기업들과 협의를 통헤 기능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한편, 네이버는 교육용 디바이스 ‘웨일북’ 내 미리캔버스를 별도 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디와 공동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15일 국회 과기정통위에선 아이폰·자급제·알뜰폰 등의 단말기가 위치추적에 어려워 긴급구조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김상희 의원실 제공
15일 국회 과기정통위에선 아이폰·자급제·알뜰폰 등의 단말기가 위치추적에 어려워 긴급구조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김상희 의원실 제공

아이폰, 긴급구조시 위치 파악 불가…"기술력 있어도 협조 안해"

최근 실종·화재 등 긴급구조 상황에서 단말기 위치추적을 활용하는 일이 빈번한 가운데, 아이폰·자급제·알뜰폰 등의 단말기가 위치추적에 어려워 긴급구조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1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상희 부의장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소방청 등 긴급구조기관의 요청에 따라 국내 이동통신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가 이용자 위치정보를 제공한 건수는 지난 2016년 약 1100만 건에서 지난해 약 1800만 건까지 크게 증가했다. 

최근 2년 단말기별 위치정보 제공 현황 자료에 따르면, 애플 아이폰 등 외산폰과 일부 자급제·알뜰폰의 경우 GPS나 와이파이(Wi-Fi)를 통한 위치정보는 ‘미제공’ 또는 ‘부분제공’으로 진행됐다. 

방송통신위원회 조사에 의하면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는 통신사를 통해 개통한 삼성전자 등 국산폰에 한정된다. 애플의 경우 사생활보호 정책상 위치정보 제공에 협조하지 않고 있다. 또한 자급제·알뜰폰은 단말기 제조사가 모두 달라 표준 기술 탑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김상희 부의장은 “아이폰과 자급제·알뜰폰의 시장 점유율이 최근 상승하면서 긴급구조의 사각지대가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며 “삼성 등 제조사와 구글 등 OS 사업자의 협조는 긍정적으로 전망되지만, 제조사 겸 OS사업자인 애플은 당장 적용할 수 있는 기술임에도 이를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부의장은 “긴급구조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사업자들의 국내법 준수에 대한 협조가 필요하다”며 “방통위는 법에 따라 사업자에게 표준 기술 적용을 적극 권고하고, 소비자에게 정확한 단말기 정보를 고지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검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담당업무 : 통신 및 전기전자 담당합니다.
좌우명 : 사랑에 의해 고무되고 지식에 의해 인도되는 삶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