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신당, ‘이정희도 유시민도 싫다’…노회찬 ‘곤혹’
스크롤 이동 상태바
진보신당, ‘이정희도 유시민도 싫다’…노회찬 ‘곤혹’
  • 최신형 기자
  • 승인 2011.03.28 15: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한 핵, 3대 세습에 대한 민노당 변화 요구”…진보신당 위기

“민노당도 국민참여당도 안 된다.” 27일 국회에서 열린 진보신당 정기당대회에서 보여준 진보신당 대의원들의 목소리였다. 다소 충격적인 결과였다. 2012년 총·대선을 앞두고 민주당, 국민참여당, 민주노동당, 시민사회단체 등이 진보대통합 야권단일정당 야권연대 등 진보진영의 통합 내지 연합을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진보진영의 한 축이 진보신당 내부에서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이날 당 대회에 참석한 각계각층 인사들은 진보대통합 내지 연립정부 등에 대한 당위성을 주장했다.
“오늘 민주노동당 대표로서 진보의 통합의 길에서 가장 먼저 마음을 맞춰야 하는 동지들을 마주하고 있다. 함께 하기 어려웠던 부분들은 새로운 구조를 만들어가자.(이정희 민노당 대표)”, “국민참여당은 진보신당에 대한 부채의식이 있다. 다가오는 2012년은 정치일정 뿐만 아니라 진보대통합을 통해 참여당과 진보신당이 함께 했으면 좋겠다.(유성찬 국민참여당 최고위원)”,

“진보대통합정당은 오늘날 대중의 요구이고 민중의 요구이기 때문에 당내 민주주의를 철저히 구축하고, 기존의 정파적 구도를 뛰어넘는 새로운 소통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김세연 진보교연 대표)”, “만인을 위해 일하고 만인을 위해 싸우고 몸부림치는 새로운 진보정당 만들자.(이광석 전농 회장)”, “진보의 본성은 통합이라고 생각한다.(김영훈 민노총 위원장)”, “변화의 시작, 새로운 진보세상을 꿈꾸는 정치세력들이 모여서 좋은 유전자를 키우고 세력을 키우자.(이학영 시민회의 대표)”

그러나 진보신당 대의원들은 민노당과의 진보대통합을 ‘도로 민노당’으로 규정하며 그간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가 보냈던  ‘진보신당+민노당+국민참여당’ 간 합당 시그널 자체도 무산시켰다.

역시 문제는 예상대로 민노당과의 분당시 문제가 됐던 종북주의 논란이었다. 실제 이날 당 대회에 참여한 345명의 대의원 중 211명은 새 진보정당 건설을 위한 종합실천계획안 중 북한에 대한 태도와 관련, “북한 핵 개발과 3대 세습 문제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견지한다”는 원안을 “북한의 핵 개발과 3대 세습에 반대한다”라고 수정했다.

▲ 27일 오후 국회헌정기념관에서 열린 진보신당 2011당대회에 참석한 노회찬(왼쪽) 전 진보신당 대표와 민주노동당 이정희 대표가 악수하고 있다.ⓒ 뉴시스

사실상 민노당과의 탈당 원인이 됐던 종북주의 문제를 짚고 가자는 것이다. 그간 진보신당 독자파 VS 통합파 간 갈등이 고조됐을 당시 일부 독자파 대의원들과 이를 지지하는 당원들은 “민노당으로 가느니 차라리 사회당과 세를 합치자”며 통합에 강하게 반발했다. 결국 진보신당 대의원들의 선택은 ‘진보대통합=도로 민노당’인 셈이다.

또다른 문제는 통합 시기였다. 당초 민노당은 오는 6월 중 진보 양당의 통합 안건이 의결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정성희 민노당 최고위원 역시 기자에게 진보대통합 안건 의결 시기를 6월 중으로 못 박았다.

하지만 진보신당 대의원들은 “9월까지 새 진보정당 건설이 불가능할 경우 합의하는 세력들과 함께 진보정당을 건설한다”고 선을 그었다. 사실상 북한에 대한 민노당의 태도 변화가 없을 경우 사회당 등 좌파노선 측과 합당을 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선도 탈당파였던 조승수 대표가 주장한 상반기 진보대통합의 출현도, 노회찬 진보신당 전 대표의 가설정당도, 심상정 전 대표의 연립정부 구상도 사실상 어렵게 됐다. 때문에 노회찬 심상정 조승수 등의 입지도 상당부분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진보신당 일부 독자파들은 선도 탈탕파였던 조 대표가 사전에 민노당과의 통합을 올 상반기로 규정하는 데 상당한 반발심이 작용한 것으로 알려져 조 대표의 조기 사퇴도 불가피하게 됐다.

문제는 ‘조승수 체제’ 이후 진보신당을 이끌 리더가 부재하다는 점이다. 진보신당이 독자노선을 천명한 만큼, 민주당과 참여당과의 연립정부를 주장한 심상정 전 대표가 새 수장이 될 가능성은 사실상 제로다. 심 전 대표가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유시민 대표의 지지의사를 밝히며 사퇴한 이후 당내 독자파 VS 통합파 논란이 불거졌다는 점에서 그렇다.

또 최근 가설정당을 제기하며 당 안팎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던 노회찬 전 대표도 마찬가지다. 노 전 대표의 구상인 진보대통합 창당→가설정당→총·대선에서의 비(非)민주 연대 등 일련의 작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결국 노회찬 심상정 등 1인 스타에 의존했던 당의 리더십 문제가  새롭게 부각될 수밖에 없는 셈이다. 다만 당 안팎에서 ‘노회찬 역할’론이 급부상 할 경우 노 전 대표가 총대를 메고 진보대통합을 위해 독자파들의 설득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민노당 국민참여당 등은 27일 진보신당 정기당대회의 충격파가 큰 듯 일제히 공식 논평을 자제하는 등 사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반면 강상구 진보신당 대변인은 28일 국회 브리핑에서 “진보신당은 27일 당 최고의결기구인 당 대회를 통해 신자유주의 극복과 한반도 평화 실현, 생태·여성·소수자 등 진보적 가치와 복지국가 건설을 새로운 진보정당의 지향으로 제시했다”며 “과거 이런 가치 기준에 반하는 정치활동을 했던 세력에 대해선 조직적 성찰을 요구키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노당과의 종북 논란과 관련해 “북한의 핵 개발 및 3대 세습에 반대하고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기로 했다”며 선을 그었고 심상전 전 대표가 주장한 연립정부론에 대해서는 “‘새 진보정당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 아니다 라고 결정했다. 새 정당 건설이 불가능할 경우 합의하는 세력과 우선 통합하고 진보대연합을 중심으로 내년 총선을 치를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