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 개입 안하겠다”는 조정식, 속내는?
스크롤 이동 상태바
“공천 개입 안하겠다”는 조정식, 속내는?
  • 정인균 기자
  • 승인 2023.08.26 11:44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정식 사무총장 직·간접적으로 ‘공천권’ 관여 안할 것
현행 당헌상 당대표·사무총장 영향력 ‘여전한 수준’
지난 3월 인사 개편서 사무총장만은 ‘유임’, 주목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정인균 기자]

'공천 거리두기'를 선언한 조정식 사무총장에게 민주당 관계자들의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 ⓒ시사오늘(그래픽=정세연 기자)
‘공천 거리두기’를 선언한 조정식 사무총장에게 민주당 관계자들의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 ⓒ시사오늘(그래픽=정세연 기자)

보통 정당의 사무총장은 선거가 가까워질수록 어깨가 무거워진다. 그 시기가 공천을 심사할 때라면 더더욱 그렇다. 계파에 휘둘리지 않고 공정한 공천을 관리해야 하고, 만약 선거가 패배로 끝난다면 그 책임을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조정식 사무총장 대·내외적으로 ‘공천권’ 관여 안할 것 수차례 밝혀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조정식 사무총장은 본인이 그런 부담감으로부터 자유로운 편이라고 전한다. 민주당이 오래전부터 당 특유의 ‘시스템 공천’을 적용하고 있어 본인의 권한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그는 처음 사무총장에 임명된 당시부터 이 부분을 강조했다.

지난해 8월 조 사무총장은 취임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도 전당대회 기간 출마 선언을 할 때부터 소위 ‘공천학살’ ‘사당화’는 절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며 “시스템 공천을 통한 이기는 민주당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와 같은 그의 태도는 최근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시사오늘>과 사석에서 만난 민주당 관계자는 “(조 사무총장이) 공석에서 건, 사석에서 건 공천 문제에 거리를 두겠다고 말한다. 그의 말이 사실이 될지 지켜볼 일”이라고 말했다.

사무총장은 당의 네 번째 서열로, 당 대표와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다음으로 권한이 강한 직책이다. 몇몇 당 내 인사는 사무총장이 관장하는 분야가 인사와 재정 등인 것을 감안해 서열 이상의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현행 당헌상 당대표·사무총장 영향력 ‘여전한 수준’


민주당의 당헌·당규를 살펴보면, 사무처의 장으로 일하는 사무총장은 매년 예산 편성안을 수립하는 일을 하고, 인사와 사업 등에 중앙당 예산의 30%를 사용할 권한을 갖는다. 당의 모든 당비를 관리·감독 하기도 하며 직책 당비와 특별 당비 또한 사무총장이 총괄한다.

세간의 관심이 몰리는 공천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무총장은 전국의 당원 명부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시·도당위원장의 승인 여부 업무를 맡기도 한다. 특히, 당무 감사와 중앙위원회의 실무를 담당하는 점은 사무총장이 공천에 관여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결국 제도적으로는 사무총장의 공천 개입을 방지할 방법이 없고, 사무총장의 의지에 기댈 수 밖에 없다. 이 때문에 당 안팎에서는 그에 대한 우려가 터져나온다. ‘말뿐인’ 호언장담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는 것이다.

이 우려는 지난 3월 말 더 거세졌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단행한 당직 개편에 조 사무총장만 빠졌기 때문이다.

당시 이 대표는 지명직 최고위원과 정책위의장 등 당내 주요 요직에 비명계와 중립적인 인사를 일명했다. 당시 평론가들은 2월에 있었던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이 가까스로 부결되자, 그가 ‘비명계 달래기’에 나섰다고 평가했다.

 

지난 3월 인사 개편서 사무총장만은 ‘유임’


그러나 이때도 조 사무청장, 김병기 수석사무부총장, 이해식 조직사무부총장 등 사무처 인사들은 전원 유임됐다.

앞서 비명계는 이 대표에게 사무총장을 포함한 당 내 인사에 대해 대대적인 인적 쇄신을 요구했지만, 이 대표는 그들의 요구를 절반만 들어주었다. 비명계 인사들은 이때 인적 쇄신에서 친명계의 ‘공천 개입 의지’를 엿봤다고 전해진다.

실제로 당 대표와 당내 인사가 공천 문제에 지나치게 개입해 계파 갈등을 유발하는 일이 더러 있었다. 당 대표의 권한이 현재보다 훨씬 강했던 과거는 물론이고, 비교적 최근인 2016년에도 그런 일이 있었다.

당시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김종인 전 위원장은 친노계를 공천에서 대거 탈락 시킨 뒤 본인을 비례대표 2번에 공천하며 ‘셀프 공천’이라는 조롱을 들어야 했다.

민주당은 제20대 총선에서 123석을 차지해 원내 1당으로 발돋움했지만, 이후에도 상당 기간 계파 갈등에 휩싸여야했다.

여러 부작용을 겪은 민주당은 2020년 총선에서부터 ‘시스템 공천’을 도입했다. 시스템 공천는 외부의 영향 없이 일정한 원칙을 통해 후보자를 1차로 걸러내는 방식이다.

시스템 공천 하에선 공천관리위원회가 후보자들의 부적격 기준을 조사한 뒤, 당선 가능성(적합도 조사)과 도덕성, 정체성 등을 평가해 부적절한 인사를 공천에서 배제 시킨다. 

올해는 부적격 기준에 학교 폭력·2차가해·직장내 괴롭힘과 갑질 등도 포함돼 도덕성에 더 신경을 썼다.

그러나 이 역시 한계가 있다. 공천관리위원회의 위원장을 당 대표가 임명하고, 전략 선거구와 인준을 당 대표가 확정 짓는 점은 바뀌지 않았기 때문이다. 완전한 ‘상향식 공천’을 요구하고 있는 민주당 지지자들의 기대에는 한참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25일 정세운 시사평론가는 "표면적으로 시스템 공천을 하겠다고는 하지만 쉽지 않을 일이다. 사무총장이 그렇게 하겠다고 해서 이뤄질 수 없는 부분이 많다. 당 대표를 포함한 당 내 지도부의 의지도 중요하다. 조 총장이 공천에 개입하지 않겠다고 하는 것은 선언에 그칠 가능성이 많다"고 전했다.

담당업무 : 정치부 기자입니다.
좌우명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홍서민 2023-08-26 17:41:01
정왕동 구도심 버리고 배곧만 챙기는 더러운 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