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1위' 한화, 文정부 에너지 정책으로 수혜 입을까
스크롤 이동 상태바
'태양광 1위' 한화, 文정부 에너지 정책으로 수혜 입을까
  • 유경표 기자
  • 승인 2017.10.24 11: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美 세이프가드 등 불안정한 해외 시장…탄탄한 내수 기반 마련 필수적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유경표 기자)

▲ 한화가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치동 산수배수펌프장 유휴부지에 조성한 태양광발전 시설 ⓒ뉴시스

공론화위원회가 지난 22일 신고리 5·6호기 건설재개 권고 결정을 내리면서,  문재인 대통령은 권고를 수용 하겠다면서도 ‘탈원전 정책’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관련 업계가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

특히 태양광 사업을 차세대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한화그룹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맞춰 내수 시장을 확대하고, 이를 발판으로 해외 시장 개척에도 나선다는 계획이어서 향후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한화그룹은 한화케미칼과 한화큐셀, 한화에너지 등의 계열사를 통해 그룹 차원에서 태양광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한화그룹이 지난 2010년 나스닥에 상장된 중국 솔라펀파워홀딩스를 인수해 ‘한화솔라원’이라는 이름으로 출범시켰고, 2012년 글로벌 1위 태양광 기업이었던 독일 큐셀을 인수하면서 ‘한화큐셀’로 재탄생했다. 한화그룹은 이 기업의 지분을 20.44%를 보유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 기준 총 6.8GW의 셀·모듈 생산량을 보유하고 있는 한화 큐셀은 셀 기준으로 1위, 모듈 기준으로는 세계 5위 안에 드는 생산능력을 갖췄다. 

신재생 에너지 시장은 다가오는 4차산업 시대의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각국의 글로벌 에너지 업체들도 속속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분야 개척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한화가 한 발 앞서 태양광 시장 개척에 나설 수 있었던 배경에는 김승연 회장의 ‘뚝심’이 없었다면 불가능 했을 것이란 게 업계의 평가다.

김승연 회장은 지난 2011년 10월 9일 창립기념일 연설에서 “태양광과 같은 미래 먹거리 산업은 단기적 시각이 아닌, 오랜시간 투자해야 하는 장기적 사업”이라며 “한화그룹의 중추적 산업으로 성장시켜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한화큐셀은 지난해 연간실적으로 매출액 1조2,781억 원, 영업이익 596억 원을 기록하면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이는 전년과 비교해 매출은 261%, 영업이익은 무려 9,700% 증가한 수준이다. 

▲ 지난 6월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 주재로 열린‘신재생 3020 이행계획’ 민관합동 회의 모습 ⓒ뉴시스

美 보호무역주의, 국내 태양광 업계에도 '먹구름' 드리우나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가 문재인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기조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지만, 국내 태양광 산업이 넘어야 할 산은 하나 더 있다.

미국이 한국산 태양광 모듈을 상대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을 발동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세이프가드는 특정 품목 수입이 과도하게 많아져 해당 품목을 생산하는 자국 산업이나 사업이 어려워지면 수입량을 일정기간 제한하는 조치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22일 한국산과 중국산 태양광 패널이 자국 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했다고 만장일치로 판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1월 12일까지 관세부과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한화큐셀의 지역별 매출 비중을 보면 미국은 35%에 이르는 절대적인 시장이다. 유럽은 10% 내외이고, 국내 역시 5~10%를 넘지 못하고 있는 시점에서, 세이프가드가 현실화될 경우 큰 타격이 불가피하다.

트럼프 정부는 보호무역주의 기조와 함께, 전임 오바마 대통령이 추진했던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전면 백지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중국과 더불어 세계 신재생에너지 핵심시장 중 하나인 미국이 문을 닫을 경우, 국내 태양광 업체들은 기나긴 시련에 직면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문재인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은 국내 태양광 업계의 ‘버팀목’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미국과의 통상마찰에서도 정부의 역할이 절실한 상황이다.

문재인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3020’ 정책 발표를 통해 현재 4%에 불과한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오는 2030년까지 20%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한화로서도 탄탄한 내수 기반 마련으로 해외 시장 개척에 탄력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양새다. 증권가에 따르면 정부가 제시한 신재생에너지 정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53GW규모의 신규 설비를 보급해야 한다. 이는 현재 운영 중인 원자력발전의 총 설비용량(22GW)의 2배가 넘는 규모다.

‘신재생에너지 3020’에는 일정 규모 이상 발전사업자들에게 전력의 일정 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공급의무화제도(RPS)’를 대폭 강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아울러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보조금을 주는 ‘발전차액 지원제도(FIT)’도 재도입한다는 방침이다.

담당업무 : 재계, 반도체, 경제단체를 담당합니다.
좌우명 : 원칙이 곧 지름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