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순    인기순

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의 끈질긴 러브콜로 사실상 합류 의사를 밝혔던 이상돈 교수가 17일 공식 입당식을 가졌다. 안 대표는 "보석같은 분"이라며 치켜세웠지만, 대북정책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금방 어긋나는 모양새였다. 이 교수는 이날 서울 마포구 국민의당 당사에서 '기득권 양당정치'를 비판하며 입당의 변을 밝혔다.그는 "거대한 몸집을 한 여야는 선거가 닥치면 유권자를 의식, 마치 새로 태어난 듯한 모습을 보이지만 선거가 끝나면 되돌아오는 행태를 반복해왔다"면서 "스스로 쇄신이 불가한 정치권을 보며 제 3당이 필요하다고 느꼈다"고 말했다.안 대표는 이 교수 옆에 서서 기쁜 표정을 숨기지 못했다.안 대표는 "이 교수는 소개가 필요없을 정도의 분"이라며 "여당에 참여하는 동안 여러 문제점을 파악하고 있어 이론과 실전경험 모두 갖췄다"고 평했다.이어 "조만간 선대위가 출범할텐데 이 교수를 공동선대위원장으로 추대할 생각"이라면서 "정치개혁 분야에서 일할 수 있도록 위원회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그러나 안 대표와 이 교수 간 의견표명에 약간의 잡음도 감지됐다.입당식에서 국민의당의 중도노선과 관련한 질문이 나오자, 이 교수는 "국민의당이 말하는 제3지대는 이른바 '안보는 보수, 경제는 진보'"라면서 대북기조를 예로 들었다.그는 "햇볕정책을 포함, 북핵 문제에 대한 역대 정부의 대북기조는 모두 실패했다"면서 "국민의당은 기존 대북정책을 원점에서 검토해 입장을 채울 것"이라고 말했다.이 교수의 발언은 앞서 국민의당이 더민주 김종인 비대위원장의 '북한 궤멸론'에 대해 "민주세력의 전통성을 뒤흔드는 중대사안"이라며 "햇볕정책을 차라리 포기하라"며 날을 세운 것과는 궤를 달리하는 것이다.이에 '햇볕정책이 실패했다고 보느냐' 등 후속질문이 이어지자 안 대표가 나서 "어떤 정부의 정책도 완벽히 성공하거나 완벽히 실패하는 건 없다"면서 "북한이 핵 개발을 계속해 오고 있기 때문에 역대 정부 모두 결과적으로 대북기조에 실패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그는 "오는 18일 비교섭단체 대표연설 때 개성공단 폐쇄에 대한 평가를 포함해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겠다"고 덧붙였다.안 대표의 발언이 끝나자 이 교수는 다시 마이크 앞에 서서 "과거의 포용정책이 전혀 의미가 없다는 뜻은 아니다"면서 "인도적인 역할을 했지만 핵 개발을 막지 못한 한계가 있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그러면서 "국내뿐 아니라 미국의 역대 정부도 모두 북핵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면서 "과거정책을 냉정하게 평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치 | 오지혜 기자 | 2016-02-17 13:01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 연설이 오는 16일 예정돼 있는 가운데, 연설 직후 여야 지도부와의 회동에서 2012년 대선캠프 동료였던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과 조우할 것으로 보여 관심을 끌고 있다.김 위원장인 15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박 대통령과 2년 전 독일에서 마주친 이래 처음으로 만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회동 내용과 관련해서는 "아직 말할 수 없다"고 답했다.더민주 관계자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 대선 이후 박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하거나 직접 만난 일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박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지난 2014년 3월 26일 독일 정부가 주최하는 오찬회에 공식 초청받아 우연히 마주쳤지만, 간단한 인사 외에 특별한 언급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더민주 관계자는 "당시 박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악수하면서 '언제 독일에 도착했는지' 등을 물었고, 김 위원장은 '대통령 일 잘하시길 바란다' 정도로 대화는 마무리됐다"고 말했다.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 대선 때 박근혜 당시 후보 측 인사로 '경제민주화' 이슈를 선점, 중도층을 견인했다.그러나 박근혜 정권 들어 김 위원장이 주장한 경제민주화 공약은 정책에 반영되지 않자, "경제민주화가 될 것처럼 얘기한 데 대해 국민들에게 미안하다"며 2013년 새누리당을 탈당한 바 있다.

정치 | 오지혜 기자 | 2016-02-15 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