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자본 25% 이상이면 보조금 안 줘”…K배터리, 추가 지분 투자 불가피
스크롤 이동 상태바
“中 자본 25% 이상이면 보조금 안 줘”…K배터리, 추가 지분 투자 불가피
  • 권현정 기자
  • 승인 2023.12.06 09: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美 IRA 내 ‘해외우려기관’ 해석 및 이행에 대한 가이던스 발표
중국 등 우려국 자본 25% 이상인 합작사, 배터리 보조금 제외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권현정 기자]

ⓒ새만금산단 전경
LG화학과 화유코발트의 전구체 합작공장, SK온·에코프로머티리얼즈·거린메이의 전구체 합작공장 설립이 추진되고 있는 새민금 산단 전경. ⓒLG화학

미국이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는 해외우려기관(FEOC)을 중국 등 우려국 자본을 25% 이상 포함한 합작사 등으로 구체화한 세부 지침을 공개하면서, 배터리업계의 투자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지는 모습이다.

 

소재 기업 지분 추가 투자 불가피…수천억 원 더 필요할 듯


6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부와 재무부는 지난 1일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전기차 세액공제 조항 내 해외우려기관(FEOC) 해석 및 이행에 대한 초안을 발표했다.

초안은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 등에 설립되거나 대상국가에 본사 또는 주 사업장이 있는 경우 △제3국에서 설립됐더라도 대상국가 정부 합산 시 직간접적으로 지분, 의결권 등을 25% 이상 보유한 경우를 FEOC로 정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상위 규정인 IRA는 FEOC에서 생산된 광물은 2025년부터, 배터리 부품은 2024년부터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토록 정한다.

업계는 당장 진행 중인 중국과의 합작 투자가 다수인 만큼, 영향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3월 에코프로머티리얼즈·SK온·중국 거린메이(GEM)는 합작사 지이엠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를 설립하고, 새만금 산업단지 전구체 생산공장 건설을 위해 최대 1조2100억 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SK온 등 한국 기업이 자금 51%, GEM이 49%를 조달하는 형태다.

만일 GEM이 FEOC 대상 기업으로 확인되면, SK온 등 한국 기업은 최소 24% 상당의 지분을 더 확보해야 한다. 단순 계산 시 당초 투자 예상액보다 최대 2904억 원을 더 들여야 하는 셈이다.

LG화학은 화유코발트와 손잡고 지난 2019년 중국 취저우 전구체 공장, 2020년 우시 양극재 공장 등의 설립에 나선 바 있다.

최근에는 새만금과 구미에 각각 전구체 및 양극재 생산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다. 모로코 내 LFP 양극재 합작공장 건설에도 나서고 있다.

각 사업장의 화유코발트 지분을 보면, 설립 당시 기준 △취저우 공장 51% △우시 공장 49% △구미 공장 49%(화유코발트 자회사 B&M 투자 방식) 등이다.

양사가 새만금 1조2000억 원, 구미에 5000억 원 등을 투자하기로 한 점을 고려하면, LG화학이 지분 추가 매입을 위해 투자해야 하는 금액은 수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포스코퓨처엠 및 포스코홀딩스 역시 중국 CNGR과 포항에 니켈 정제 공장과 전구체 생산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다. CNGR의 지분율은 니켈 정제 공장 40%, 전구체 생산 공장 80% 수준이다.

업계는 배터리 업계의 중국 공급망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당장 다른 방법이 없는 만큼, 손을 잡은 중국 기업의 FEOC 여부를 살피고 지분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인 것으로 전해진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배터리 핵심 광물인 리튬은 전 세계 채굴 광물 중 65%가 중국에 먼저 넘어가고, 중국에서 제련된다. 전 세계 리튬 공급망 절반 이상을 중국이 잡고 있다는 얘기다.

LG화학은 북미 리튬정광 구매, 포스코퓨처엠은 탄자니아 및 마다가스카르 등에서 천연흑연 확보 등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당장 전체 공급망을 대체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LG화학은 지난 1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중국회사 지분이 완전히 배제돼야 한다는 내용으로 FEOC가 규정된다면, 화유코발트 지분을 전량 인수하는 방법도 고려 중”이라고 밝힌 한 바 있다.

 

“대중국 견제 분명해져…K-배터리에 긍정적 측면 있어”


한편, 전기차 시장에서 미국의 대중국 견제가 분명해진 상황인 만큼, 장기적으로 국내 배터리 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미 FEOC 세부지침 발표 전부터 미국 내에서는 합작을 통한 중국의 ‘우회 진출’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었다. 지난 9월 중국 CATL과 포드사의 미국 내 합작 계획은 이 같은 지적에 무산됐다가 최근에서야 재개됐다.

전창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번 가이던스는) 북미 EV 배터리 역내 공급망에서의 탈중국 기조 재확인, K배터리 밸류체인의 시장지배력 강화로 이어지며 업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또, 우려국가의 실질적 통제 권한에 대한 포괄적·광의적 해석이 가능해 중국 기업에 대한 임의적 견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담당업무 : 정유·화학·에너지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좌우명 : 해파리처럼 살아도 사는 것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