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노동절] 역대 노동부 장관 업적은?
스크롤 이동 상태바
[2018 노동절] 역대 노동부 장관 업적은?
  • 김병묵 기자
  • 승인 2018.05.01 16: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인제, 고용보험제도 도입
이상수, 비정규직 처우개선
임태희, 고용노동부로 개칭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김병묵 기자)

1일은 문재인 정부 들어 처음으로 맞는 근로자의 날, 노동절이다. <시사오늘>은 한국 노동이슈의 '컨트롤 타워'라고 할 수 있는 역대 노동부장관들의 행보를 통해, 한국 노동문제의 간략한 변천사를 살펴봤다.

현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 8월 취임한 김영주 장관이다. 노동운동가 출신인 김 장관은 취임사에서 “노동현장 출신인 내가 편향적인 노동정책을 펼 것으로 우려하는 시각이 있다”면서 “어느 한쪽에 치우침없이 노사 모두로부터 박수 받을 수 있는 공정하고 균형있는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이후 비정규직 차별문제 극복, 산업안전분야의 원청업체 책임 강화, 근로감독관 확대 방침 등을 약속했다.

또한 김 장관은 일·생활의 균형(워라밸 : Work & Life Balance)을 맞추는 데도 상당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1일 저녁엔 같은 슬로건을 내건 프로야구 두산베어스의 시구자로 나설 예정이다.

▲ (왼쪽부터) 초대 노동부장관을 지낸 이인제 전 경기도지사, 이상수 전 노동부장관, 임태희 전 대통령 비서실장. ⓒ뉴시스, 시사오늘 DB

이인제의 고용보험제도 도입

노동부장관의 뿌리는 1948년 신의식 사회부 노동국장, 혹은 제3공화국의 정희섭 초대 노동청장에서 시작한다고 볼 수도 있지만, 노동부의 위상이 올라가기 시작한 것은 문민정부의 첫 노동부장관 이인제 전 경기도지사 부터다. 국회 노동위원회에서만 4년 내내 활동하던 젊은 정치인 이인제를, 김영삼(YS) 전 대통령은 초대 노동부장관으로 파격 기용했다.

이 전 지사는 지난해 본지 인터뷰에서 “그 때 노동문제는 정말 심각했다. 민주화 바람이 불면서 권위주의 시대에 억압됐던 노동문제들이 곳곳에서 분출됐다”며 “10개월간 재임하며 중요한 법안만 13개를 제정하거나 개정했고, 고용보험제도를 최초로 도입했다”고 밝혔다.

노동부의 위상은 이 때 상당히 상승한다. 당시 고용보험제도 도입에 대해 경제부총리, 재계 등의 상당한 반발이 있었지만 이 전 지사가 ‘미뤄선 안 된다’면서 추진했다.

고용보험제도는 문민정부말기, IMF사태 당시 대규모 구조조정이 벌어졌을 당시 강력한 사회안전망으로 작동했다. 김대중(DJ) 전 대통령이 IMF 사태 수습 과정에서 '고용보험제도가 없었으면 큰일 날 뻔 했다'고 말했다는 일화가 있다.

이상수의 비정규직 처우개선

노동부의 입지는 조금 넓어졌지만, 그렇다고 한국의 노동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었다. 보다 다양한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했는데, 그러자 참여정부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자신의 정치적 오랜 동지인 이상수 국회의원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노동관련 인권변호사로 이름을 날린 이 전 장관은 비정규직 문제에 팔을 걷어붙였다. 노사관계 선진화 로드맵을 마련하고, 40여 년 만에 산재보험법 개정을 추진하기도 했다.

그런데 비정규직 보호법안을 낸 이 전 장관은 뜻밖의 반발과 마주한다. 노동현장에서 차별 시정과 정규직 전환이라는 입법 취지였던 이 법안은 기업들이 법의 빈틈을 파고들며 오히려 악용가능성이 제기됐다. 결국 뜨거운 이슈가 되며 노동부는 노사 양쪽으로부터의 비판 받았다. 이 전 장관이 직접 국민들에게 편지를 쓰며 진정성을 호소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전 장관의 비정규직 보호법안은 당시 노사문제에 치중됐던 시선을 고용문제 쪽으로도 돌리는 방아쇠가 됐다. 이 시기 노동부 산하의 고용지원센터의 인프라도 이 전 장관의 주도하에 대폭 확장된다.

임태희의 고용노동부 개칭

이상수 장관 시절 대두됐던 고용문제의 중요성은, 이명박(MB) 정부 들어 임태희 전 비서실장이 노동부장관을 맡으며 아예 명시화됐다.

노동부는 2010년 임 전 장관의 주도로 이름을 고용노동부로 변경했다. 1981년부터 29년간 써 온 노동부라는 이름은 역사 속으로 들어갔다. 임 전 장관은 개칭의 의미에 대해 “고용노동부로의 전환은 노동부의 역할과 사명의 변화이자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로 봐야 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임 전 실장은 1일 <시사오늘>과의 통화에서 “고도성장기엔 일자리의 근로조건이 나쁜 것을 개선하는 것이 주였다면, 이제 저성장 구도에선 일자리 자체가 숙제였다”면서 “당시 일자리 창출이 국정과제였고, 또한 향후 미래 고용문제를 담당해야 할 총괄부서를 마련하기 위한 결단”이라고 말했다.

그 외에 임 전 실장은 장관 재임 당시 노조법 개정 약 13년 만에 이끌어낸 것도 호평 받았다.

노동계의 한 소식통은 같은 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지금 한국은 지금까지와는 또 다른 노동, 고용의 문제에 직면할 것 같다”면서도 “그래도 그간 노동부장관을 맡은 분들이 나름 일정부분 노력해왔음을 인정해야 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한국의 노동문제는 조금씩 개선돼 온 것이 맞다”고 평했다.

 

담당업무 : 게임·공기업 / 국회 정무위원회
좌우명 : 행동하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