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구역 단위 친환경 인증’ 발표…탄소중립 도움 될까?
스크롤 이동 상태바
오세훈 ‘구역 단위 친환경 인증’ 발표…탄소중립 도움 될까?
  • 정승현 기자
  • 승인 2023.09.22 16: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세훈 서울시장, 서울형 친환경 건축 인증제도 마련 의지
시너지 창출 기대...개별 건물 탄소 배출 감축 여전히 필요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정승현 기자]

서울형 친환경·저탄소 건축물 평가 제도(LEED-ND SEOUL)에 관해 설명한 자료. ⓒ서울시
서울형 친환경·저탄소 건축물 평가 제도(LEED-ND SEOUL)에 관해 설명한 자료. ⓒ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은 건축물의 탄소배출량 평가 기준을 단일 건물이 아닌 구역 단위로 하는 ‘서울형 친환경 평가인증제도’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구역 단위로 탄소 배출량을 평가하면 더 효율적인 탄소 중립이 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물론 그간 이어졌던 개별 건물의 탄소배출량 저감 노력도 지속 수반돼야 한다는 현실적 조언이 나온다.

미국 뉴욕을 방문한 오 시장은 지난 18일 맨해튼에서 친환경 개발 사례로 평가받는 세계무역센터 단지를 둘러본 후 구역 차원의 친환경·저탄소 건축물 평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해당 단지는 오는 2050년까지 탄소 배출 80% 감축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이후엔 미국의 대표적 친환경 건축 인증제도인 LEED를 관리하는 미국그린빌딩협회(USGBC)의 피터 템플턴 회장과도 만났다. 이 자리에서 오 시장은 USGBC와 함께 서울 특성에 적합한 지역단위 친환경, 저탄소 평가인증 체계를 개발·추진하기로 약속했다.

이러한 구역 단위 탄소중립 접근법이 대두되는 이유는 건축물, 지자체 등 여러 단위로 각각 세워진 탄소 감축 정책을 하나로 모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함이다.

이미 국토연구원도 비슷한 맥락의 의견을 낸 바 있다. 지난 2021년 12월 국토이슈리포트 발간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원을 비롯한 건물별 접근법의 한계를 알린 것이다. 더 넓은 개념으로, 도심 직주근접과 압축개발에 주안을 둔 도시계획(지자체)을 구상해야 건물 및 수송 부문의 탄소 배출을 동시에 줄일 수 있다는 내용이다.

반대로 탄소 배출 없는 주택단지를 도시 외곽에 조성하면 건축 부문 온실가스 배출은 줄지만, 녹지 파괴와 교통량 증가라는 부작용을 수반한다는 분석도 내놨다. 결과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할 수 밖에 없단 것이다. 공간 단위 접근을 통해 도시숲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도 부연했다.

전문가들도 이에 대해 공감하는 입장이다. 구역 단위로 친환경·저탄소 평가가 이뤄지면 친환경 에너지원을 더 많이 생산해 탄소중립에 가까워질 것이란 평가다.

이와 관련, 이병연 숭실대 건축학과 교수는 건물 옥상에 설치하는 태양광 패널을 예를 들어 설명했다. 이 교수는 “고층 건물은 연면적이 크지만 옥상만을 따지면 설치 공간은 적다. 반면 저층 건물은 적은 연면적에도 옥상 공간은 크다고 볼 수 있다. 즉 고층 건물이 연면적 대비 태양광 패널 용량이 작아지는 셈”이라며 “때문에 구역 단위로 평가해야 건물 연면적 대비 친환경 에너지를 더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물론 지역 단위로 평가하더라도, 개별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는 노력이 적극 뒷받침돼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건물이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식은 에너지 소비량 감축과 친환경 에너지 직접 생산 등 2가지로 나뉘는데, 이를 병행해 건축물의 탄소 배출을 상쇄해야 한다는 것이다.

에너지 소비량 감축은 건축물의 외벽을 두껍게 만들거나 창문으로 열이 새나가지 않게 하는 등 단열 성능을 강화하고, 더울 때 바람이 잘 통하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에너지 직접 생산은 태양광이나 풍력, 지열 등 친환경 에너지를 건물이 직접 생산해 탄소 배출 요인을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교수는 “에너지 절감 과제는 개별 건물들의 소비량을 줄이지 않는 한 광역으로 묶는다 해도 별 차이가 없을 것”이라며 “탄소 중립을 달성하려면 모든 건축물이 자체 신재생 에너지 생산 설비를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담당업무 : 건설·부동산을 담당합니다.
좌우명 : 有備無患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