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체제’ 안착…국민의힘, 1당 가능할까?
스크롤 이동 상태바
‘한동훈 체제’ 안착…국민의힘, 1당 가능할까?
  • 정진호 기자
  • 승인 2024.02.22 2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 대통령과 거리 두고 공천 잡음 최소화…민주당 내홍 반사효과도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 정진호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0일 서울 광진구 CCTV 관제센터에서 열린 ‘시민이 안전한 대한민국’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0일 서울 광진구 CCTV 관제센터에서 열린 ‘시민이 안전한 대한민국’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흐름이 달라졌다. 국민의힘에 화색이 돈다. 참패를 걱정했던 당초 우려는 거의 사라졌다. 이제 원내 제1당도 기대해볼 만하다는 분위기다.

막연한 기대가 아니다. 수치가 뒷받침한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 의뢰로 13~16일 실시해 19일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자. 윤석열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이 39.5%까지 올라갔다.

정당지지율도 따라붙었다. 더불어민주당이 40.2%, 국민의힘이 39.1%였다. 불과 한 달 전(1월 18~19일 실시해 22일 공개)만 해도 양당 지지율 격차는 8.5%포인트였다. 국민의힘 지지율 상승세가 뚜렷하다.

 

‘윤석열’ 지우고 ‘공천 잡음’ 최소화


이 같은 상승세의 바탕에는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있다는 게 중론이다. 한 위원장 취임 이후 민주당의 공세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이뤄졌다. 하나는 ‘윤석열 아바타론’, 다른 하나는 ‘검찰독재론’이었다.

한 위원장은 ‘윤석열 아바타론’을 먼저 수면 아래로 가라앉혔다. 그는 윤 대통령과 각을 세우지 않았다. 정부 정책이나 진영 정치도 비판하지 않았다. 대신 ‘마이웨이’를 선택했다. 중도적 정책과 메시지를 발산하면서 탈(脫) 진영 노선을 걸었다. ‘이념 전쟁’을 공언했던 윤 대통령과는 다른 행보였다.

이런 상황에서 대통령실의 사퇴 요구가 나왔다. 한 위원장도 맞섰다. 이 과정이 언론을 장식한 건 화룡점정(畵龍點睛)이었다. 이 일을 계기로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은 완전히 분리됐다. 윤 대통령과의 충돌로 한 위원장은 ‘윤석열 아바타’라는 꼬리표를 떼어냈다. 민주당이 ‘윤석열 아바타론’을 거론한 건 3주 전이 마지막이다.

이후 한 위원장은 ‘이재명 때리기’에 집중했다. 윤 대통령과 자신을 분리시킨 후, 총선을 ‘한동훈 대 이재명’ 구도로 끌고 가려는 전략이었다. 이때부터 국민의힘 지지율은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정권심판론이 흐려지고 ‘한동훈 대 이재명’ 대결 구도만 남은 결과였다.

민주당은 ‘검찰 독재’ 프레임으로 반격했다. ‘윤석열 아바타론’ 자리를 ‘검찰독재론’으로 채운 모양새였다. 그러나 한 위원장은 ‘시스템 공천’으로 반격했다. 국민의힘은 1차 공천에서 친윤계 핵심으로 분류됐던 권성동·박성민·이철규 의원을 단수추천 명단에서 제외했다.

장예찬 전 최고위원과 김성용 전 대통령실 행정관 등도 경선행이 확정됐다. 검찰 출신에 대한 특혜도 찾아보기 어려웠다. 윤 대통령 ‘40년 지기’로 불리는 검사장 출신 석동현 전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회 사무처장은 아예 서울 송파갑에서 컷오프(공천 배제)됐다. ‘검찰 독재’ 프레임은 힘을 잃었다.

지난주 <시사오늘>과 만난 국민의힘 예비후보도 이런 말을 했다. “처음에는 솔직히 한동훈 체제에 반대했다. 더 경험 많은 사람이 필요하다고 봤다. 지금은 아니다. 한 위원장보다 상황을 더 잘 컨트롤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보다도 정치력에서 한 수 위에 있는 것 같다.”

 

민주당 공천 갈등 반사효과도


민주당도 국민의힘을 도왔다. 야당은 유리한 상황에서 선거전을 시작했다. <엠브레인퍼블릭>이 YTN 의뢰로 1월 21~22일 실시해 24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46%가 ‘정권심판론’에 공감한다고 답했다. ‘정권지원론’은 37%에 그쳤다.

그러나 공천 잡음이 발목을 잡았다. 구조적으로 민주당은 공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제21대 총선 대승 때문이었다. ‘해볼 만한 지역’엔 모두 현역 의원이 있었다. ‘물갈이’를 위해선 현역 의원과의 충돌이 불가피했다. 게다가 야당은 여당과 다르다. 공천 대신 ‘자리’를 내주는 게 불가능하다.

이재명 대표의 취약한 기반도 문제였다. 이 대표는 차기 대권을 노린다. 이번 총선을 통해 최대한 많은 우군을 확보해야 한다. 자연히 ‘무리수’를 둘 수밖에 없었다. 그 과정에서 비명(非明·비이재명)이 반발했다. 급기야 당이 쪼개지는 일까지 벌어졌다.

거기서 끝이 아니었다. 친문(親文·친문재인)과의 갈등도 나타났다. 친명계는 친문 현역 의원들의 자리를 노렸다. 현역 국회부의장인 김영주 의원이 19일 탈당을 선언한 건 상징적인 사건이다. 정권심판론이 있어야 할 자리에 계파갈등만 남았으니, 민주당을 바라보는 국민의 눈이 싸늘해진 건 당연한 귀결이다.

설상가상으로 조국 전 법무부장관까지 신당 창당을 선언했다. 조 전 장관은 윤석열 정부 탄생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받는 인물이다. 최근에는 2심에서 실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정권심판론이라는 프레임이 흐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국민의힘 입장에선 쾌재를 부를 만하다.

박성민 정치컨설팅 민 대표도 20일 SBS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이렇게 말했다. “민주당은 난제가 많다. 지난 총선에서 180석을 얻은 데다 야당이기 때문에 다른 데로 빼줄 여유가 없다. 게다가 총선 이후 당권을 누가 쥐느냐, 대권 후보가 누가 되느냐를 두고 친명과 친문이 크게 붙고 있다. 전통적으로 민주당은 당내 갈등이 있으면 투표장에 안 나왔다. 계파 갈등 때문에 투표율이 낮아지는 건 민주당에 심각한 타격이 될 거다.”

* 본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의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http://www.nesdc.go.kr)를 참조하면 된다.

담당업무 : 국회 및 국민의힘 출입합니다.
좌우명 : 인생 짧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