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순    인기순

"이과 망했으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유행하고 있는 이 말은 평범한 이야기를 '이과적'으로 분석할 경우 우스갯소리처럼 달린다. 예를 들어, 한 아이돌 그룹의 노래 중 '우린 마치 12시 30분의 시곗바늘처럼 다시 돌아올 수 없는 곳으로 걸어가고 있잖아'라는 가사는, 180도가 되는 시분침에 빗대 '연인과의 갈등'을 극대화한 표현이다. 그런데 여기에 "실제로 12시 30분이면 시침이 1시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180도가 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오자, 그 밑으로는 여지 없이 댓글이 달린다. '이과 망했으면.'문과는 언어와 사회영역, 이과는 수리와 과학영역으로 나눠지다 보니 교육과정에 따라 세상을 바라보는 눈도 달라진다. '이과 망했으면'이라는 유행어도 이같은 맥락에서 나온 것이다.정치권에는 문과계 정치인들이 '일반적'이다. 법학, 정치학, 외교학 등 전공도 다양하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국민도 이과계 정치인은 '낯설어'하는 풍경도 나타난다. 대표적 사례가 안풍(安風)의 주역 안철수 무소속 의원이다.신선한 정치 비전에 주목받은 안 의원은 한편으로는 '모호 화법'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대해 안 의원은 지난 8월 "이과 성향 때문"이라는 설명을 한 적이 있다. 그는 "이과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80%, 90% 정도 확률이 돼야 그렇다고 얘기를 하고 그 전에는 불확실하다고 이야기를 한다"고 말했다.이와 함께 안 의원이 예로 든 것이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다. 그는 "메르켈 총리는 이과 출신이어서 확실하지 않으면 이야기를 하지 않아 처음에는 답답하고 모호하다는 비난을 받았다"며 "이과 출신들은 비슷한 경로를 겪는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털어놓았다.

정치 | 오지혜 기자 | 2015-12-23 13:31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지난 18일 '문-안-박(문재인-안철수-박원순) 연대'를 제안했다. 이와 관련, 정계에서는 문 대표가 안철수 전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과 더불어 야권의 강력한 차기 대권 주자인 손학규 전 상임고문에 손 내밀지 않은 배경을 두고 말이 무성하다. 20대 총선 승리를 위해서라면 ‘문-안-박 연대’보다 ‘문-안-박-손 연대’가 효과적이기 때문이다.문 대표가 정계은퇴를 선언한 원외인사까지 ‘꽃놀이패’로 쓰려한다는 비난 여론과 과거 친노(친노무현)계-손 전 고문 사이의 불화를 의식해 연대 제안을 하지 않은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비주류는 현재 ‘문-안-박 연대’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이 표면적으로 내세우고 있는 반대 이유는 당원들이 선출한 현 지도부의 권한을 문 대표 마음대로 좌지우지하는 것은 당헌·당규 위반이라는 것, 지방자치단체장인 박 시장이 총선에 뛰어들면 정부여당에서 선거법 위반을 거론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하지만 진짜 이유는, ‘문-안-박 연대’로 문 대표가 리더십을 되찾으면서 차기 총선을 앞두고 비주류에게 불리한 당내 구도가 형성될 것을 염려하기 때문이라는 게 정계의 중론이다. 또한, 비주류 일각에서는 문 대표가 자신의 대권플랜 달성을 위해 안 전 대표과 박 시장을 ‘꽃놀이패’처럼 다루고 있다는 비판까지 나온다.이 마당에 손 전 고문에게 연대를 제안한다는 것은 문 대표 입장에서 명분도 없고, 실리도 얻지 못하는 ‘정치적 자살 행위’나 다름없다는 게 지배적인 견해다. 정계은퇴를 선언한 원외인사까지 대권가도에 이용하려든다는 여론의 거센 비난과 직면할 공산이 크다.더욱이 문 대표가 어렵사리 연대를 제안한다고 하더라도 손 전 고문이 응할 가능성도 높지 않다. 손 전 고문은 강력한 대권 잠룡이다. 최근 기자와 만난 손 전 고문의 한 최측근은 "손학규는 대권만 보고 간다"고 말했다. 연대 제안을 받아들이는 것은 경쟁자인 문 대표에게 힘을 실어주는 선택이다. 문 대표가 내민 손을 거절할 공선이 크다. 이렇게 되면 문 대표의 리더십은 또 한 번 큰 타격을 입는다.

정치 | 오지혜 기자 | 2015-11-20 18:16

tvN 드라마 시리즈가 이번엔 1980년대로 돌아갔다. 1997년, 1994년까지 과거 여행을 성공적으로 마친 시리즈는 당대를 풍미한 음악과 패션까지도 다시 주목받게 할 정도로 흥행에 성공했다. 잊고 지내던 90년대 가수들의 복귀가 잦아진 것도 그 영향이었다. 한마디로 시리즈는 복고 열풍의 주역이 된 셈이다. 그러나 2년 전 가 종영하면서 많은 사람들은 그보다 오래 전으로 돌아가는 건 '무리수'라고 단정했다. 80년대를 다루기에는 상대적으로 젊은 시청자들에게 공감을 얻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다. 지난 6일, 세 번째 시리즈 이 공개됐다. 복고패션이라 하기에도 민망한 머리모양과 옷, 유머라고 하기에도 생경한 유행어가 브라운관에 가득 찼다. 그럼에도 시청자들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그동안의 걱정을 불식시키기에 충분했다. 여주인공 '성덕선'과 그녀의 동네 친구들은 단 1회 만에 시청자들을 사랑에 빠뜨렸다.의 지속적인 인기비결은 바로 매 시리즈의 중심에 '청춘'이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시대라고는 하지만 주인공들은 지금 젊은이들과 다를 바 없다. 쑥스러워 부모님께 애정표현도 못하는 무뚝뚝한 아들, 매년 생일 때마다 언니한테 가려 축하받지 못하는 둘째의 서러움, 짝사랑하는 친구와 가벼운 약속에도 예뻐 보이고 싶어 어설프게 화장하는 소녀. 실제 80년대를 보냈던 시청자들은 이 드라마를 통해 '생기 넘치던 그 시절'을 떠올린다. 그러나 이 청춘의 적당할 줄 모르는, 뜨겁고 복잡한 감정 선은 지금 세대를 비롯, 어느 세대나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요소다. ‘복고’현상은 드라마뿐 아니라 현실에서도 나타났다. 지난달, 청년세대가 거리로 나선 것이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를 외치는 대학생 행진은 80년대 민주화운동 시절 거리 위의 청춘을 떠올리게 했다. 말하자면 현실판 이다.

커버스토리 | 오지혜 기자 | 2015-11-14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