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한화·SK 나섰다…‘VPP 중간다리’ 발전량 예측시장 무엇? [권현정의 이런E저런E]
스크롤 이동 상태바
HD현대·한화·SK 나섰다…‘VPP 중간다리’ 발전량 예측시장 무엇? [권현정의 이런E저런E]
  • 권현정 기자
  • 승인 2023.07.08 0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1년 도입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시장…필요성 부각에도 기업 유인 한계
정부 ‘전력시장 개편’ 드라이브…중개사업자도 예측 데이터·기술 확보 ‘속도전’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권현정 기자]

에너지(Energy) 업계 내 ‘이 사람 저 사람’(이런 이 저런 이)의 ‘이러니저러니’ 하는 말들을 그러모아 한 데 꿰어보려 합니다. 손에 안 잡히는 수치나 전문용어로 가득한 설명문보다는, 사람의 목소리로 전했을 때 더 선명하게 보이는 현장도 있지 않을까요. 〈편집자주〉

ⓒ
그간 태양광 모듈 및 셀 판매, EPC 등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장에 참여하던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이 다음 스텝으로 ‘신재생에너지 예측시장’을 잇따라 선택하고 있다. ⓒ 시사오늘 정세연

정부가 분산에너지활성화법, 제주 시범사업 등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마련에 속도를 내는 모습입니다.

태양광 모듈 생산기업, EPC 기업 등 신재생에너지 기업들도 이런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단연 신재생에너지 ‘예측시장’이 자리하는 모습입니다. 최근 신재생에너지 예측시장에 플레이어가 모여들고 있는 사정을 살펴 봤습니다.

 

정부, 인센티브 도입으로 신재생E 예측가능성 높이려…수요 미비 시장 ‘사업성’ 숙제


국내 신재생에너지 예측시장이 열린 건 지난 2021년입니다. 정부가 2019년부터 운영하던 소규모 전력중개사업자 제도에 예측 인센티브 제도를 추가하면서입니다.

신재생에너지는 날씨, 계절 등 공급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많아 공급량 예측이 어렵습니다. AI 등을 이용해 대략적인 예측이 가능해지더라도 한계는 있습니다. 소규모 사업자가 많다보니 저마다의 예측 수행마저 어려운 게 현실입니다.

공급량 예측이 어려우면 전력운영(전력계통)에도 차질이 생깁니다. 정부로서는 신재생에너지 활성화와 함께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게 꼭 풀어야 하는 과제인 셈입니다.

소규모중개사업자 제도는 이런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하나의 사업자가 1MW 이하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를 20MW 규모로 모아 이들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중개사업자에겐 예측 인센티브가 주어집니다. 발전량을 예측해 전력거래소에 전달하면 오차율이 8% 이하일 때 kWh(킬로와트시)당 3~4원의 정산금을 지급합니다. 중개사업 유인책으로 볼 수 있습니다.

유인책은 일부 효과가 있었지만, 충분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전력거래소의 전력시장통계에 따르면, 2020년 51곳에 그쳤던 소규모중개사업자는 2022년 73곳까지 22곳 늘었습니다. 다만 연도별로 살펴보면 성장세는 완만해집니다. 2020년에서 2021년까진 16곳이 늘어난 데 비해, 2022년 사업자 수는 달랑 6곳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문제는 ‘수익성’이었습니다. 가입자가 늘어야 일정 수익이 확보되는 중개사업자에게 아직 수요가 미비한 시장 진입은 부담이었던 거죠. 소규모 발전사업자는 이미 REC(신재생에너지 인증서) 판매와 SMP(계통한계가격) 정산이라는 수익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지난 3월부터 예측사업을 운영 중인 한화큐셀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예측사업 자체가 큰 수익을 기대하고 시작한 사업은 아닙니다. 아직 수익성 측면에서 유의미하게 큰 사업은 아니에요.”

다만, 시장 분위기는 개선되는 모습입니다. 오는 10월 제주에서 시행되는 전력시장 개선 시범사업이 배경에 있습니다.

 

시장 구조개편 ‘신호탄’ 제주 시범사업…신재생E 기업, 예측시장 넘어 ‘다음 스텝’ 준비


오는 10월 제주에서 진행되는 전력시장 제도개선 시범사업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가 중개사업자에 해당하는 VPP(가상발전소)를 통해 기존 입찰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길을 터준 게 핵심입니다.

시범사업 참여 발전사업자들은 기존 석탄 발전사업자와 같이 판매요금에 더해 ‘용량요금’(CP)을 정산받을 수 있습니다. 생산량이 아니라 생산능력을 기반으로 받는 보조금입니다. 출력제한 등으로 줄어들 수 있는 판매요금 외에 안정적인 수익이 생기는 겁니다.

지난 2021년부터 모니터링 및 발전량 예측 중개 서비스를 운영 중인 스타트업 관계자 A씨의 설명입니다.

“석탄 등 기존발전소는 설치하는 데 한 20년이 걸리거든요. 용량요금은 이 비용을 회수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본급 같은 개념이에요. 원래는 중앙급전발전기에만 줬었죠. 시범사업에서는 재생에너지도 급전지시(발전량 지시)를 받을 수 있게 되면서 임밸런스 페널티(급전지시를 이행하지 못하면 받는 불이익)뿐 아니라 용량요금도 적용받게 됐습니다.”

3MW 이상 자원은 의무참여를 해야 하는데, 풍력발전의 경우 대부분 3MW를 넘어서기 때문에 참여가 일부 의무화된 영향도 있다고 부연했습니다.

제주 시범사업 소식이 알려지면서, 다른 지역에서도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는 모습입니다. 제주 시범사업에서 VPP 사업자로 참여하는 SK에코플랜트 관계자의 말입니다.

“최근 보도자료 배포 이후에 ‘육지에서도 모집하는 거냐’는 문의가 이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는 제주도 자원을 중심으로 50MW, 90곳 정도 확보했습니다. 향후 육지 지역까지 모집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발전사업자 외 신재생에너지 플레이어들도 이번 시범사업을 ‘구조 개편’ 신호탄으로 보고 선제 대응에 나섰습니다.

아직 시장 향방을 알 수 없는 만큼, VPP 등 ‘다음 스텝’ 검토까지는 이르다는 게 공통된 의견입니다. 다만 규모의 경제를 누가 먼저 실현하는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라, 이를 위한 자원 확보 경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자원은 수익성 뿐 아니라, 더 많은 데이터, 더 높은 예측 정확도로 이어진다는 것이죠. 한화큐셀 관계자의 말입니다.

“에너지 거래 구조 자체가 많이 바뀌는 시점이라, 자원이나 데이터를 갖고 있는 게 앞으로 전력거래 시장에서 유리할 수 있겠다고 판단했습니다. 최근 중개사업자로 참여하는 기업들이 많아지면서, 모집 속도가 빨라지고 시장도 커지고 있습니다.

자원 확보와 함께 기술 고도화를 위한 투자에도 나서고 있습니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의 말입니다.

“시장에서 SK에코플랜트가 확보한 자원 및 데이터가 아직 적은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오는데, 저희는 예측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했고요, 기술력을 갖춰 예측정확도를 갖추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습니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역시 다음 달 시장 진출을 예고했습니다.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인 하이 스마트 3.0(Hi-Smart 3.0)가 확보한 데이터를 무기로, 가입자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 관계자의 말입니다.

“셀, 모듈, 인버터 등 태양광 제품 판매 외에도 발전량 측정과 고장 유무까지 확인할 수 있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수집한 데이터를 발전량 예측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한편, 올해 분산에너지활성화 특별법의 이름으로 통과된 분산에너지법 및 전기사업법 개정안은 △통합발전소(VPP) 사업의 정의를 명시하고 △통합발전소사업자가 입찰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정한 것이 골자입니다. 두 법안은 오는 2024년 6월 시행될 예정입니다.

담당업무 : 정유·화학·에너지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좌우명 : 해파리처럼 살아도 사는 것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