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늘·시사ON·시사온=윤진석 기자]

25일은 6·25 전쟁 73주년 기념 등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6·25 전쟁의 참혹함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린 한미동맹 70주년 특별전에 참석해 “6·25 전쟁이 발발한 지 73년이 지난 지금, 이땅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양국이 함께 흘린 피를 잊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국군은 약 16만 명의 전사자를 포함해 62만 명이, 미군은 3만 7000여명의 전사자를 포함해 13만여 명이 전사, 부상, 포로 등의 피해를 입었다”며 “지금까지도 한국군 12만여 명과 미군 7500여 명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그분들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6·25 전쟁 73주년을 맞은 여야 강조점은 달랐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페이스북에서 “한때 대한민국의 정권을 잡고 종속적이고 굴욕적인 대북관계로 일관하며 가짜 평화 쇼에 올인한 탓으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가 위협받기도 했다”며 전 정부의 안보 정책을 비판했다. 이후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6·25 전쟁 73주년 행사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당당한 승리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반도의 자유, 평화, 민주를 확실하게 다지겠다“며 안보 강화에 방점을 찍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박성중 대변인은 국회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반드시 적대적 전쟁을 종식해야 한다. (북한은) 미사일 발사 등 도발을 중단하고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화에 나서야 한다”면서도 “윤석열 정부 또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감을 높이는 데 동조하고 있다”며 “북한과의 외교적 노력을 통해 남북관계를 관리하기 바란다”고 남북 간 대화 의지를 피력했다.

좌우명 : 꿈은 자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