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순    인기순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와 안철수 전 공동대표에겐 공통점이 있다. 바로 '소심함'이다.역사교과서 국정화, 노동개혁 논란 등 정부여당에 대한 반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새정치연합은 여전히 무능력한 모습만 보이고 있다. 2012년 대선 당시 누렸던 인기도 어느새 사라진 지 오래다. 새정치연합이 이렇게 지리멸렬하는 가운데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있다. 여론조사기관 에 따르면 11월 3주차 차기 대선주자 지지도에서 문재인 대표는 15.7%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22.2%)에 뒤쳐졌다. 안철수 전 대표는 5.4%에 그쳐 오세훈 전 서울시장에게 2.8%p 차로 4위를 내줬다.문재인 대표는 '사람이 먼저다'라는 슬로건과 함께 대선 이래 시민들과 적극적인 소통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요즘은 자신의 사퇴를 요구하는 당내 목소리에 귀를 닫고 있다. 대신 '희망스크럼 3인 공동지도부 체제'이라는 어정쩡한 제안만 내놓고 있다.문 대표가 외연확대에 힘쓰기는 커녕 자신의 기득권을 잃을까 전전긍긍하다가 주변에 벽을 치는 듯한 모양새다. 이에 박지원 새정치연합 의원은 지난 18일 "리더십이나 당 운영 상태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가졌던 비주류 의원들을 일거에 공천권이나 요구하는 사람으로 매도했다"고 비난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도 19일 "공동지도부 체제 제안은 당사자인 3명 중 2명은 뭔지도 잘 모르는 상황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에둘러 비판했다.당내 비주류계 대표격인 문병호 의원은 같은 날 "비판자를 수용할 생각이 전혀 없는 안하무인 독선적 태도"라면서 심지어 "문 대표의 제안을 보고 정나미가 떨어졌다"고 맹비난했다.한편, 안철수 전 대표는 확실한 정치적 결단을 내놓기보다 문재인 대표에 대한 뒷담화에 열중한 모습이다.안 전 대표는 문 대표의 방침에 끊임없이 '태클'을 걸어왔다. 그는 지난 3일 덕성여대에서 강연 후에 기자들과 만나 "제가 제안한 혁신안에 대해 문재인 대표가 입장을 밝혀야 한다"면서 "싸울 건 싸우고 고칠 건 고쳐야 한다"고 각을 세웠다. 당내 비주류가 문 대표의 사퇴를 촉구하는 것과 분명 다른 모습이다.안 전 대표는 그러나 입장표명에는 소극적인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정치 | 오지혜 기자 | 2015-11-19 13:31

강남구청 공무원들이 온라인에서 조직적으로 박원순 서울시장을 비난하는 댓글을 달았다는 의혹이 제기돼 파문이 일고 있다.서울 강남구의회 여선웅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 8일 구의회 2차 정례회에서 "강남구청 도시선진화담당관 시민의식선진화팀이 조직적으로 여론 조작을 벌였다"고 주장했다.여 의원에 따르면 해당 부서 팀장인 이 모 씨는 지난 10월 '박 시장이 제2시민청 건립을 추진한다'는 포털 기사에 "불통 시장" "미친X이나 하는 행위"라는 댓글을 달았다.또 같은 부서 김 모 팀원은 지난 7월 '현대차 10조땅 개발 발목잡는 250억 변전소' 기사에 "돈에 눈이 멀어서 강남구만 엿먹이고 뺏어가려고 깽판친 서울시 잘못"이라고 했다. 그는 또 지난 10월 '깊어지는 市-區 갈등, 답 못 내놓는 국토부' 기사에도 "동네 양아치냐"는 표현을 쓴 것으로 드러났다.이에 서울시는 지난 9일 실질감사를 한 뒤 위법성이 확인되면 수사의뢰 등 법적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시장은 이날 CBS 에 출연, "구청에서 댓글로 여론 조작을 시도했다는 건 믿기 어렵고, 진실이 아니길 바란다"면서도 "사실관계를 파악한 뒤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반면, 강남구청은 즉각 해명자료를 내고 "강남구청이 조직적으로 비방댓글을 달아왔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며 강력하게 대응하겠다"며 반발했다. 아울러 "지적된 댓글은 여론몰이나 비방을 위한 게 아니라 강남구민의 권익을 보호하고자 개인적 판단에 의해 행해졌다"고 주장했다.한편, 서울시와 강남구청은 올 들어서만 제2시민청, 한전부지개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MERS), 현대차 공공기여금 등 여러 사안에서 대립각을 세워왔다.신연희 강남구청장은 지난 여름 현대자동차가 한국전력 부지를 개발하면서 내놓은 공공기여금은 강남구민을 위해 사용돼야 한다면서 서울시와 강하게 대립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신 구청장은 '강남이 서울에서 독립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이 된 바 있다.

정치 | 오지혜 기자 | 2015-12-10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