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순    인기순

국내 정치권의 '기본소득'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기본소득이란 정부가 모든 국민에게 아무 조건 없이 최저 생계비 이상의 현금을 지급하는 제도로, 지난달 스위스가 '월 300만 원 기본소득' 국민투표를 진행하면서 세계적 화두가 됐다.국내에서는 소수 진보정당의 의제에 불과했던 기본소득이 거대정당 중심으로 그 필요성이 다시금 주목받는 모습이다. 전 세계 기본소득 지지자들의 연대 조직인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BIEN)'의 16차 총회가 7일 서울 마포구 서강대학교에서 개회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과 노동당, 녹색당 등 정계 인사들이 모습을 보였다.특히, 제1야당의 수장인 김종인 더민주당 대표의 참석에 시선이 쏠렸다.김 대표는 이날 축사에서 "인간의 지속적인 경제활동을 위해서 소득은 가장 중요한 요소"라면서 "한국의 소득 불평등 수준은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인데, 이는 곧 사회 안정과 민주주의 발전에 대해서도 큰 장애"라고 강조했다.이어 "지금 우리나라 실정에 기본소득 얘기를 하면 '저 사람 정신 나가지 않았느냐'는 소리를 들을 수도 있지만, 미래를 위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며 "이번 대회가 기본소득을 전파하는데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앞서 김종인 대표는 지난달 21일 교섭단체 연설과 지난 6일 '따뜻한 미래를 위한 정치기획' 연구모임 축사에서도 격차 해소와 경제 회복 방안으로 기본소득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한 바 있다.

정치 | 오지혜 기자 | 2016-07-07 14:21

안철수·천정배 국민의당 공동대표가 대표직에서 동반 사퇴하면서 야권의 권력지형에 미묘한 기류가 흐르고 있다. 이와 관련, 가장 이목이 쏠린 곳은 손학규 전 민주당 상임고문의 향후 행보다.야권의 거물급 인사인 손 전 고문은 지난 4·13 총선 당시부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양쪽에서 러브콜을 받아왔다.지도부 공백으로 비대위 체제로 전환된 국민의당은 재차 손 전 고문의 문을 두드리는 모양새다.박지원 국민의당 비대위원장은 30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저와 안 전 대표는 손학규 전 고문의 영입을 위해 수차례 노크했다"며 "저와 손 전 대표는 특별한 관계라서 수시로 전화하고 있다"고 밝혔다.영입 가능성에 대해서는 "손 전 고문은 국가를 위해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며 "더민주에는 문재인 전 대표가 있기 때문에 우리 당으로 와서 경쟁하는 것이 좋지 않겠냐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이는 손 전 고문의 대권가도 행보에 초점을 맞춰, 국민의당이 적절한 텃밭이 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더민주당 역시 손 전 고문의 정계복귀를 적극 환영하고 있다.정장선 더민주당 총무본부장은 같은 날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손 전 고문이 곧 정계로 복귀할 것"이라며 "그 정도 경륜을 갖고 계신 분이라면 복귀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국민의당의 손 전 고문 영입설에 대해서는 "국민의당은 위기가 생길 때마다 손 전 고문을 대안으로 거론하는데 순수하지 않다고 본다"며 "국가적인 위기 상황에 손 전 고문처럼 경륜 있는 분들이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할지에 좀 더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앞서 김종인 더민주당 대표도 지난 24일 광주에서 손 전 고문과 만나 악수를 건네며 "서울은 언제 올라오시냐. 빨리 올라오시라고 손을 잡은 것"이라고 말해, 손 전 고문에 대한 영입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정치 | 오지혜 기자 | 2016-06-30 09:25

"어른들이 우리의 미래를 망쳤다."브렉시트(Brexit) 발표 당일이었던 지난 24일,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인용한 젊은 독자들의 목소리다.세계의 이목은 경제적 여파에 쏠린 가운데, 내부에서는 브렉시트로 인한 사회적 분열 양상이 격화되는 모양새다. 국민투표 과정에서 세대 간 간극이 분명히 드러난 데 따른 것이다.영국 국영방송 <BBC>가 브렉시트 국민투표 결과를 분석한 데 따르면, 유권자 1만 2369명 중 18세~24세는 73%, 25~34세는 62%가 EU 잔류를 지지했다. 그러나 45~54세를 기점으로 잔류 대 탈퇴 비율이 뒤집히면서 65세 이상에서는 60%가 탈퇴에 투표한 것으로 나타났다.장·노년층의 탈퇴 선호에는 대영제국에 대한 향수와 반(反) EU 정서가 깔려있다는 게 중론이다. 탈퇴 캠페인 측이 '통제권을 찾아라(Take Back Control)'을 표어로 걸고, 그 근거로 '영국에 누가 입국할지 우리가 결정할 수 있다' '우리 법을 다시 만들 수 있다'를 내세운 것 모두 동일한 맥락이다.그러나 영국이 지난 1973년 유럽경제공동체(EEC) 가입한 이래 통합 유럽의 일원으로 자라온 젊은이들은 "우린 영국인이 아닌 유럽인"이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이는 EU 탈퇴로 인한 경제적 불이익과 직결된다.

정치 | 오지혜 기자 | 2016-06-27 16:38